고등부 국어 자료/수능 국어 대비 92

[수능 국어 대비]문법특강-고등국어기초에서 수능까지

[수능 국어 대비]문법특강-고등국어기초에서 수능까지 단원별 수록 내용 및 학습 목표 단원별 수록 내용학습 목표01 언어의 본질(1) 언어와 인간➊ 언어와 사고 ➋ 언어와 사회➌ 언어와 문화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회,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해한다.(2) 언어의 특성➊ 기호성 ➋ 사회성 ➌ 역사성➍ 규칙성 ➎ 창조성언어가 갖는 특성인 기호성, 규칙성, 창조성, 사회성, 역사성을 탐구하고 이해한다. 02 음운(1) 음운의 개념과 체계➊ 음운의 개념 ➋ 자음 체계음성, 음운의 세계를 탐구하고 올바르게 발음 생활을 한다.➌ 모음 체계 ➍ 비분절 음운(2) 음운 변동➊ 교체 음운의 변동을 탐구하고 올바르게 발음하며 표기하는 생활을 한다.➋ 탈락 ➌ 첨가 ➍ 축약03 단어(1) 품사품사의 분류품사 분류를 ..

[2017 수능 특강 고전 시가 총정리1](고대가요, 향가, 속요)

[2017 수능 특강 고전 시가 총정리1](고대가요, 향가, 속요) 공무도하가公無渡河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 이별에 대한 거부 의지. 公竟渡河 임은 그예 물을 건너시네 : 이별墮河而死 물에 휩쓸려 돌아가시니 : 죽음當奈公何 가신 임을 어이할꼬 : 이별한 슬픈 심정. 公無渡河(당신 공, 없을 무, 건널 도, 강 하)公竟渡河(끝내 경)墮河而死(떨어질 타, 말이을 이, 죽을 사)當奈公何 (지금, 마땅할 당, 어찌 내, 어찌 하) * 슬픔, 체념, 안타까움, 원형적 심상을 지닌 소재로 민족의 보편적 정서가 드러남* 제1구-사랑 : 無와 같은 뜻- 勿 제2구-이별 : 河(강물)의 동양적 상징 의미- 이별, 죽음, 경계, 장애, (세월, 역사) 제3구-죽음 : 제4구-회한 : 奈- 何 ‘어찌하리’의 뜻. ‘..

[2017 수능 특강 고전 시가 총정리2] (연시조, 논매기 노래, 유산가, 사설시조)

[2017 수능 특강 고전 시가 총정리2] (연시조, 논매기 노래, 유산가, 사설시조) 漁父歌(어부가) TIP & MEMO ● 핵심 정리◁작자 : 이현보(李賢輔 1467~1555)◁출전 : ◁종류 : 5수의 연시조 ◁제재 : 어부(漁父)의 생활◁주제 : 강호에 묻혀 사는 어부(漁父)의 한정(閑情)◁내용 : 멀리 속세를 떠나 유유자적하며 자연에 흥취를 즐기는 어부의 생활 ● 해설 漁父歌(어부가)는 일찍이 고려 때부터 12장으로 된 장가와 10 장으로 된 단가로 전해져 왔는데, 이현보가 이를 개작하여 9장의 장가, 5장의 단가로 만들었다. 농암의 어부가는 한자어가 많고 부르기에 적합하지 않은 결점을 지녔으며, 정경의 묘사도 관념적이다. 후에 고산 윤선도의 에 영향을 준다. 일엽편주(一葉잎片조각舟배) 한 척의..

[수능 국어 대비]현대시 소재별 모음-눈

[수능 국어 대비]현대시 소재별 모음-눈 눈(雪)이 시 속에서 시어로 사용될 때, 어떻게 수용되는지 살펴봅시다. 시어로 수용되는 어떤 소재들은 그 소재가 지니고 있는 속성으로부터 다양한 의미를 부여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눈(雪)의 경우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눈(雪) - 하얗다 - 순결성 / 진실성 - 덮는다 - 포근함 - 겨울 - 시련 / 역경 / 장애물 ⋮이처럼 시 속에 수용되는 시어들은 그 소재가 지니는 속성으로 하여 그 의미를 부여받게 됩니다. 따라서 그러한 시어들이 지니는 속성들을 잘 생각해 보면 시어를 통해 시인이 부여하고자 했던 의미가 드러나게 됩니다. 이제 현대시에 나타난 눈(雪)을 통해 주요 현대시에 수용된 눈(雪)의 의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김수영의 의 경우 ‘눈’..

[수능 국어 대비 교재]현대시 소재별 모음-바다

[수능 국어 대비 교재]현대시 소재별 모음-바다 아무도 그에게 수심(水深)을 일러 준 일이 없기에흰 나비는 도무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 청(靑)무우밭인가 해서 내려갔다가는 어린 날개가 물결에 절어서공주(公主)처럼 지쳐서 돌아온다. 삼월(三月)달 바다가 꽃이 피지 않아서 서글픈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 「여성」 (1939. 3) ∙ 성격 : 감각적(시각적), 묘사적, 주지적∙ 표현 : 선명한 심상의 제시와 냉정한 어조로 시적 긴장감을 불러일으킴. 서글픔과 애처로움이 뒤섞인 관조적 미의식∙ 특징 : ① 구체적인 소재를 통해 추상적 관념을 표현하는 상징이 두드러짐. ② 푸른색과 흰색이 선명한 대비를 이룸. ③ 대상에 대한 주관적 해석과 판단을 배제한 채 서술함. ④ 문명 비판적 성격이 나타남.∙ ..

[수능 대비 교재] 소재별 현대시 모음 "강"

[수능 대비 교재] 소재별 현대시 모음 "강" 강(江)이 시 속에서 시어로 사용될 때, 어떻게 수용되는지 살펴봅시다. 시어로 수용되는 어떤 소재들은 그 소재가 지니고 있는 속성으로부터 다양한 의미를 부여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강(江)의 경우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강(江) - 흐른다 - 세월의 흐름 / 역사 의식 - 물 - 합쳐진다 - 합일의 매개체 - 육지를 가른다 - 경계 - 삶과 죽음의 경계 ⋮ 이처럼 시 속에 수용되는 시어들은 그 소재가 지니는 속성으로 하여 그 의미를 부여받게 됩니다. 따라서 그러한 시어들이 지니는 속성들을 잘 생각해 보면 시어를 통해 시인이 부여하고자 했던 의미가 드러나게 됩니다. 이제 현대시에 나타난 [강(江)]을 통해 주요 현대시에 수용된 [강(江)]의 의미..

[2017 수능 대비 국어 고전산문]흥부전 (판소리, 문제)

[2017 수능 대비 국어 고전산문]흥부전 (판소리, 문제)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흥보가 ⓐ하릴없어 이를 꽉 아득 물고 팔짱을 되게 찌고 죽을 판 살 판으로 가만가만 자로 걸어 초당(草堂) 앞을 당도하니, 과연 놀보가 영창문(映窓門)을 반만 열고 자알돈피1) 두루마기 우단(羽緞) 왜단(倭緞) 무겁다고 양색(兩色) 단의(單衣)를 하고, 청모관(靑茅冠)2) 빗기 쓰고, 십상 백동(白銅) 오동수복(梧桐壽福) 부산 장인(釜山匠人) 마춤대의 팔장생(八長生) 별각죽(別刻)竹)3)을 지장 질게 맞추어서 양초(洋草) 피워 입에 물고, 안석(安席)4)에 비슥이 누었구나. 흥보가 아주 죽기로 자처하고 툇마루에 올라서서 곡진히 절을 하고 떨며 눈물을 드리워 “떠나온 지 적년(積年)이니, 기체 안녕하옵신지.” ..

[2017 수능특강 국어 문학] 춘향전 문제 모음

[2017 수능특강 국어 문학] 춘향전 문제 모음 9춘 향 전 *연대 : 미상(未詳) - 영․정조 시대로 추정*종류 : 판소리계 사설, 애정 소설*문체 : ① 운문이 중심이나 부분적으로 산문도 보임 ② 호흡이 짧은 어구를 반복하여 역동성을 자아내 고 있다. ③ 일상적 언어를 구어체로 사용 ④ 전라도 방언을 다수 사용하여 현장감을 높혔다.*특징 : ① 판소리 특유의 해학(諧謔)과 풍자(諷刺)가 많다. ② 서술자가 인물과 사건에 끊임없이 개입하고 있다.*성격 : 서사적, 운문적, 해학적, 풍자적*배경 : 조선 숙종조 전라도 남원과 한양*사상 : 인간 평등사상, 사회 개혁 사상, 자유 연애 사상, 열녀불경이부 사상*설화 : 열녀 설화, 염정 설화, 암행어사 설화, 신원 설화, 도미처 설화*시점 : 전지적 작가..

[수능 국어 대비] 평가원 및 모의고사 문학 '산문' 문제 모음

[수능 국어 대비] 평가원 및 모의고사 문학 '산문' 문제 모음 [25~3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가) 뒷벽 중앙에 새긴 십일면관음보살은 더할 나위 없는 여성미와 육체미까지 나타내었다. 어디까지나 아름답고 의젓한 얼굴판은 그만두더라도, 곱고도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며 드리운 오른팔, 엄지와 장지 사이로 살며시 구슬 줄을 들었는데, 그 어여쁜 손가락이 곰실곰실 움직이는 듯. 병을 치키어 쥔 포동포동한 왼쪽 팔뚝! 종교 예술품으로 이렇게 곡선미를, 여성미를 영절스럽게도* 나타낼 수 있으랴? 그나 그뿐인가! 수없이 늘인 구슬 밑에 하늘하늘하는 옷자락은 서양 여자의 야회복을 생각나게 한다. 그 아른아른옷자락 밑으로 알맞게 볼록한 젖가슴, 좁은 듯하면서도 슬밋한 허리를 대어 둥그스름하게 떠오른 허벅..

[2017 수능특강 국어 문학]박지원 양반전 문제

[2017 수능특강 국어 문학]박지원 양반전 문제 양반전(兩班傳)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양반이란 말은 사족(士族)들을 높여서 부르는 말이다. 강원도 정선군(旌善郡)에 한 양반이 살았다. 이 양반은 어질고 글읽기를 좋아하여 매양 군수가 새로 부임하면 으레 몸소 그 집을 찾아와서 인사를 드렸다. 그런데 이 양반은 집이 가난해서 해마다 고을의 환자(還子)를 타다 먹은 것이 쌓여서 천 석에 이르렀다. 강원도 감사(監司)사가 군읍(郡邑)을 순시하다가 정선에 들러 환곡(還穀)의 장부를 열람하고 대노해서, “어떤 놈의 양반이 이처럼 군량(軍糧)을 축냈단 말이냐?”하고, 곧 명해서 그 양반을 잡아 가두게 했다. 군수는 그 양반이 가난해서 갚을 힘이 없는 것을 딱하게 여기고 차마 가두지 못했지만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