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부 영수과사 자료/사탐 자료

고등학교 1학년 한국사 학습지-1단원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여기가로두스 2016. 4. 23. 23:00

고등학교 1학년 한국사 학습지-1단원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한국사 수업지도안 - 1단원 우리역사 형성과 고대국가(학생용).hwp



-1

동트는 우리 역사

pp. 1215

1-1 도구를 발명하고 생산을 시작하다

 

1. 구석기 시대

(1) 구석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시작: 70만 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 석기를 다듬는 수법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

유적: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경기도 연천 전곡리, 충남 공주 석장리 등

유물: 석기, 사람과 동물의 뼈 화석, 동물 뼈로 만든 도구 등

(2) 구석기 시대의 생활

도구: 뼈 도구와 ( )석기 -사냥 도구(주먹도끼, 찍개, 팔매돌 등), 조리 도구(긁개, 밀개)

생활: 사냥과 채집, 동굴이나 바위 그늘, 강가의 막집에서 거주, ( )·( )생활, ( )관계

예술: 석회암,,뿔 이용, 고래와 물고기 등 조각 사냥감의 번성을 비는 ( ) 의미

 

2. 신석기 시대

(1) 신석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시작: 기원전 8000년경부터

도구: ( )석기와 토기( 토기, 토기토기)

(2) 신석기 시대의 생활

경제: ( ) 시작(탄화된 좁쌀 , , , , ), 사냥과 고기잡이 중요,

원시적 수공업( , 로 옷이나 그물 제작)

주거: 대부분 바닷가나 강가, 움집(바닥은 이나 모서리가 사각형), 중앙에 화덕

사회: 부족 사회(혈연에 바탕한 씨족 토대),( ), 평등 사회

원시신앙: ( ), ( ),( ), ( ), ( )

예술품: 흙을 빚어 구운 얼굴, ( ), 치레걸이 등

 

1-2 계급이 발생하고 국가가 출현하다

 

청동기 시대

초기 철기 시대

시기

B.C.20세기 경

B.C.5세기 경

유물

( ), 돌무지 무덤

( ), ( ), 거친무늬 거울, 미송리식토기·( )

널무덤, 독무덤, ( ) 농기구, ( ), 잔무늬거울,( ), 간토기, 덧띠토기,

( ), ( )(중국과 교역), 청동기의 의기화

경제

농기구 다양화, ( )시작, 농업 생산력 향상

주거

지상으로 올라온 장방형( ) 움집, 배산 임수의 취락 형성

사회

( )( )의 발생 (잉여 생산물과 정복사업), 선민 사상 대두, ( )의 출현

종교

청동제 의기, 바위그림(풍요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

-2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pp. 1621

2-1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 고조선

(1) 단군과 고조선

배경: 청동기 문화의 발전, 족장 사회 출현-주변의 여러 족장 사회 통합, 권력 강화

건국: 기원전 2333( )( , 동국통감 기록)

세력범위: (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 인접한 족장 사회 통합한반도까지 발전

( , , , 출토 지역)

단군 이야기: 선민사상, 농경생활, 환웅부족과 곰을 숭배하는 부족의 연합( )

발전: 기원전 3세기경 왕위 세습, 요서를 경계로 중국 연과 대립

(2) 위만의 집권

배경: ·한 교체기에 중국 유이민 집단의 이주이주민 세력 통솔, 세력확대왕위 찬탈

발전: 철기 문화의 ( )수용, 농업 발달, 활발한 정복사업, 중계무역 이득 독점(한과 대립)

멸망: 한 무제의 침입으로 멸망한은 고조선 일부 지역에 ( )설치( )공격으로 소멸

(3) 고조선의 사회

( ): 3개의 조목 전래, 권력과 경제력의 차이 발생, 사유 재산, 형벌과 노비 발생, 노 동력과 사유 재산 중시 등을 알 수 있음

한의 군현 설치 이후: 60여 조로 법 조항 증가, 풍속 각박

 

2-2 철기 문화를 기반으로 등장한 여러 나라

 

부여

고구려 (부여계)

옥저 (부여계)

동예 (부여계)

진국삼한 (한족)

위치

송화강 평야

졸본 통구 (A.D 3)

함흥 평야

강원 북단. 영흥

한강 이남

건국

B.C 4c(사마천 사기)

B.C 2c

고조선에 예속

( )

진국목지국백제국백제

( )

토착경상남해안가야

고구려에 투항(494)

고구려(태조왕)에 복속

( )

경상북도신라

정치

5부족 연맹체:(

)+중앙;(세습)

군장: ( , ,

, )

대사자, 사자

5부족 연맹체

, 상가고추가

대로패자

사자조의선인

( )

-범죄자 처벌

군장사회:( )

유이민과 토착세력이 융합하여 연맹체 형성( , , 등 군장이 소국 지배)

( )이 다스리는 (소도)존재-

제정분리

경제

-농경( )

-주옥모피

- 농경

- 정복사업

-5해산물고구려에 수탈

-누에: 명주

-단궁반어피과하마

-변한:( )생산 낙랑왜로 수출

-농업: 밭갈이철제농기구저수지

-목축: 돼지

사회

<4조목>-고조선과 비슷

- 112

 

 

 

풍속

-(12): 국중대회

-순장, 형사취수, 점복

-동맹(10)

-서옥제( )

-형사취수,국동대혈제사

-( )

-세골장(가매장공동무덤)

-무천(10)

-족외혼( )

-반움집·귀틀집에 거주

-두레조직,제천행사(5·10월제)

-3

삼국, 교류와 경쟁 속에서 발전하다

pp. 2231

 

3-1 삼국, 중앙 집권적 고대 국가로 성장하다

 

1. 연맹 왕국에서 중앙 집권 국가로

(1) 영토 확장 :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주변 소국 통합

(2) 왕권 강화 : (왕위 세습제) 확립, 족장 세력을 중앙 귀족으로 편입

(3) 체제 정비 : 중앙 관제(관등제, 관복제 )와 지방 조직 정비

(4) 귀족 회의 : 국가 중대사 결정, 왕권 견제 ex) 고구려 (제가회의), 백제 (정사암회의), 신라 (화백회의)

 

2. 고구려의 성장

(1) 성립 : 부여계 유이민과 압록강 유역 토착민의 결합 (주몽 건국)

(2) 태조왕(1세기) : 한군현 공략, 요동 진출, (옥저) 복속, (계루부 고씨)의 왕위 독점 세습

(3) 고국천왕(2세기) : 부족적 5부를 (행정적) 5부로 개편, 왕위의 (부자상속) 확립

(4) 미천왕(4세기) : (낙랑) 정복(중국 세력 완전 축출), 대동강 유역 확보

 

3. 백제의 성장

(1) 성립 : 고구려계 유이민과 한강 유역 토착민의 결합 (온조 건국)

* 백제의 건국 세력이 고구려계임을 보여주는 증거 : (돌무지무덤) 양식

(2) 성장 : 마한의 소국인 백제국에서 출발해 마한을 대신하는 정치 세력으로 성장

(3) 고이왕(3세기) : 한강 유역 장악, (6좌평제) 마련, 관등제 도입, 관리의 복색 제정

 

4. 신라의 성장

(1) 성립 : 경주 지역의 토착민과 유이민 집단의 결합 (박혁거세 건국)

(2) 성장 : 진한의 (사로국)에서 출발해 주변 세력을 통합하고 6부족 연맹체로 성장

* 연맹 왕국 신라의 특징 : 김씨가 교대로 (이사금)()에 선출

(3) 내물왕(4세기) : 진한 지역 장악, (마립간)(대군장) 칭호 사용, (김씨)의 왕위 세습권 확립

*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군 격퇴 고구려군 주둔 고구려의 간섭(호우명 그릇, 광개토왕 비문)

 

5. 가야 연맹

(1) 전기 가야 연맹

성립 : 변한의 소국들이 김해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연맹 형성(3세기)

발전 : 풍부한 ()과 해상 교통의 이점을 이용해 낙랑-왜를 연결하는 (중계 무역) 전개

(2) 후기 가야 연맹

성립 : (고구려) 공격으로 금관가야 중심 연맹 해체 고령 (대가야) 중심의 연맹 형성(5세기 후반)

멸망 : 백제와 신라의 압박 중앙집권적 고대국가로 성장하지 못한 채 (신라)에 병합

3-2 삼국 간의 상호 항쟁이 본격화되다

 

1. 고대 국가 체제의 완비

(1) 국가 체제 완성 : 왕권 강화, 영토 확장, 율령 반포, 불교 수용

(율령) 반포 - 국가 운영의 체계적 규범 마련하고 성문화

(불교) 수용 - 국민의 사상적 통합, 국왕 중심의 지배 이념 확립

(2) 삼국 간의 항쟁 : 영토 확장 사업 주로 (한강 유역)을 둘러싼 주도권 다툼 양상

(3) 각국 전성기 특징 : ‘대왕칭호, 독자적 연호 사용, 역사서 편찬

 

2. 백제의 번영과 위기

(1) 근초고왕(4세기) : 삼국 항쟁의 주도권 장악

왕위의 부자상속제 확립 왕권 강화

(마한) 통합, 고구려 평양성 공격(고국원왕 전사), 해외 진출(중국 요서산둥, 일본 규슈)

(2) 위기 : 5세기 고구려의 공격으로 한강 유역 상실, (웅진)(=공주) 천도(475)

 

3. 고구려의 팽창

(1) 위기 : 4세기 후반 전연과 백제의 침입 - 고국원왕 전사

(2) 소수림왕(4세기) : 전진과 수교, (태학) 설립, (불교) 수용, (율령) 반포

(3) 광개토왕(4세기말5세기초) : 요동과 만주 대부분 장악, 백제 공격, 신라 침입한 () 격퇴

* 광개토대왕비 : 독자적 연호(영락) 사용, 백제와 신라를 속민으로 파악, 독자적 천하관 엿보임

* 임나일본부설 :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정벌해 46세기에 백제가야신라를 지배했다는 역사 왜곡

(4) 장수왕(5세기) : (평양) 천도(427), 한강 유역 장악(중원고구려비), 중국 남북조와 교류

* 중원고구려비 : 충북 충주시 소재, 신라 영토 내에 고구려군 주둔, 신라를 동이(東夷)라 칭함

 

4. 백제의 중흥

(1) 나제 동맹 체결(433) : 고구려의 (남진 정책)에 공동으로 대항

(2) 웅진 천도(475) :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한성 함락, 한강 유역 상실

(3) 무령왕(6세기) : 남중국(=남조)과 교류(무령왕릉-벽돌무덤), 지방 조직 정비(22담로 설치)

(4) 성왕(6세기) : (사비)(=부여) 천도, 국호 (남부여)로 개칭, 중앙 관서 22부로 정비, 불교 장려

* 한강 유역 일시 회복 신라의 배신으로 상실(관산성 전투-성왕 전사), (나제 동맹) 결렬

 

5. 신라의 발전과 한강 유역 차지

(1) 지증왕(6세기) : 우경 보급, 지방 제도 정비, (우산국) 정복, 국호 ‘(신라)’, 왕호 ‘()’ 사용

(2) 법흥왕(6세기) : (율령) 반포, 상대등과 병부 설치, (불교) 공인, 금관가야 병합

(3) 진흥왕(6세기) : 한강 유역 장악(단양 적성비, 북한산비), (대가야) 정복, 함경도 진출, 화랑도 정비

* 신라의 한강 유역 장악 의미 : 경제 기반 확대, (중국)과 직접 교류 삼국 통일의 토대 마련

 

신라의 왕호 변천

거서간(귀인,군장)차차웅(무당,제사장)이사금(연장자,연맹장)마립간(대군장)(중국식시호)

1대 혁거세왕 2대 남해왕 3대 유리왕 17대 내물왕 22대 지증왕

3-3 삼국 간의 항쟁, 최후의 승자는 신라

 

1.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1) 배경 : 수의 통일과 당의 등장, 고구려와 패권 다툼

(2) 수와의 전쟁 : 고구려의 요서 지방 선제 공격, 수의 침략 격퇴(살수대첩)

(3) 당과의 전쟁 : 고구려의 (천리장성) 축조, 대당 강경책, 당의 침략 격퇴(안시성 전투)

(4) 고구려의 수당 격퇴 의미 : 민족의 방파제 역할, 고구려의 국력 쇠퇴 초래

 

2.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1) (당 연합) 결성 : 신라와 당이 각각 백제와 고구려 제압 위해 연합

(2) 백제 멸망 : 의자왕의 실정과 계백의 황산벌 전투 패배 사비성 함락으로 멸망(660)

(3) 고구려 멸망 : 연개소문 사후 지배층 내분 평양성 함락으로 멸망(668)

 

3. 당 전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1) 백제 부흥 운동 : (주류성)(임존성)을 근거로 흑치상지와 복신 등이 전개

(2) 고구려 부흥 운동 : 오골성과 한성(황해도 재령)을 근거로 고연무와 검모잠 등이 전개

(3) 당 전쟁 :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 (매소성)(기벌포)에서 당군 격파, 삼국 통일 완성(676)

* 당의 지배 의도 : 고구려에 안동도호부, 백제에 웅진도독부, 신라에 계림도독부 설치

(4) 삼국 통일의 의미 : 자주적 성격(당군 무력 축출), 민족 문화 발달의 기틀 마련

* 한계 : 외세() 개입, (대동강) 이남 지역의 영토만 확보한 불완전한 통일

 

 

3-4 활발한 문화 교류를 통해 발전한 삼국

 

1. 삼국의 국제 교류

(1) 중국 및 서역과의 교류 : (한자)(유교)(불교)도교 등 수용 학문과 종교 발전

(2) 고구려 : 북중국 및 북방 민족, 서역과 주로 교류

(3) 백제 : (남중국)과 문물 교류, 중국-가야-왜를 연결하여 해상 무역의 주도권 차지

(4) 신라 : 고구려를 통해 북중국과 교류 (한강 유역) 장악(진흥왕) 후 중국과 직접 교류

(5) 가야 : 바닷길을 통해 중국왜와 교류하며 철기 문화 발전

(6) 삼국의 상호 교류 : 언어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활발한 문화 교류

 

2.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1) (백제) : 삼국 중 가장 영향력 큼, 유교의학천문역법불교조각건축 전파

(2) 고구려 : 불교회화종이먹 등 전파

(3) 신라 : 조선술, 축제술 전파

(4) (가야) : 스에키 토기에 영향, 일본에 철 수출

(5)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의의 : 일본의 고대 국가 성립 및 (아스카 문화) 발달에 기여

-4

남북국으로 나뉘어 발전하다

pp. 3237

 

4-1 통일 신라의 발전

 

1. 신라의 민족 융합 정책

(1) 배경 : 국가적 단결 공고화 필요, 당 전쟁을 거치며 민족 의식 형성

(2) 내용 : 고구려와 백제의 옛 지배층에게 관직 수여

(9) 정비 : 고구려, 백제, 신라의 옛 땅에 3주씩 설치

(9서당) 편성 : 고구려, 백제, 신라, 말갈계까지 포함하여 중앙군 편성

 

2. 전제 왕권의 확립

(1) (진골)의 왕위 계승 : 무열왕계 직계 후손들이 왕위 계승

(2) 중앙 정치 기구의 변화 : ( )중심, 시중의 기능 강화, ( )설치

(3) (신문왕)의 전제 왕권 강화

귀족 세력 숙청 : (김흠돌 모역 사건)을 계기로 진골 귀족 대대적 숙청

지방 조직 정비 : (95소경) 체제 정비 (5소경 - 수도의 편재성 보완, 지역 발전 도모)

유교 이념 도입 : 유학 사상 강조, (국학) 설립, (6두품) 세력의 진출과 활동 활발

토지 제도 개편 :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이후 성덕왕때 일반 백성에게 정전 지급

* 녹읍은 조세 수취와 노동력 징발 가능, 관료전은 조세 수취만 가능

 

3. 신라 말기의 사회 모순

(1) 왕위 쟁탈전 심화 : 전제 왕권 붕괴 (왕권) 약화, (상대등) 권한 강화, 지방 통제력 약화

(2) 농민 봉기 발생 : 지배층의 가혹한 수취에 몰락한 농민 봉기, (초적)(도적) 활동

(3) (지방 호족) 성장 : 성을 쌓고 군대를 보유한 지방의 반독립적 세력으로 성장

(4) (6두품) 세력의 개혁 주장 :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골품제의 모순 비판

(5) (선종)(풍수지리설) 유행 : 호족 및 6두품 유학자들과 결합하여 ()신라적 움직임

 

4. 후삼국의 성립

(1) 후백제 : (견훤), 지방의 군사력과 호족 세력을 토대로 완산주(전주)에 건국(900)

(2) 후고구려 : 궁예, (초적)의 무리를 기반으로 송악(개성)에서 건국(901) (철원 천도, 국호 태봉)

 

신라사의 시기 구분

 

혁거세지증왕

법흥왕진덕여왕

무열왕혜공왕

선덕왕경순왕

삼국

사기

구분

상대(上代)

중대(中代)

하대(下代)

기준

성골의 왕위 계승

진골(무열왕계)

진골(내물왕계)

삼국

유사

구분

상고(上古)

중고(中古)

하고(下古)

기준

고유 왕명

불교식 왕명

중국식 시호

사회적 특징

중앙집권국가의 성장

왕권의 전제화

귀족연합정치, 호족 성장

 

4-2 발해의 건국과 발전

 

1. 발해의 건국

(1) 배경 : 요동 지방으로 중심으로 고구려 유민과 부흥군의 저항 계속

(2) 건국 :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을 규합하여 건국(698)

(3) 발해의 고구려 계승 증거

대조영은 (고구려 장군) 출신발해 지배층의 대다수가 고구려 계통

(고구려 계승 의식) 뚜렷 - 일본 국서에 (고려) (고려 국왕) 자처, 일본도 발해를 고려로 칭함

문화적 유사성 - 연꽃무늬 기와, 온돌 장치, 이불병좌상(불상), 굴식돌방무덤의 모줄임 천장

 

2. 발해의 발전

(1) 무왕 : 영토 확장, 흑수말갈 제압, 당의 (산둥 지방) 공격(장문휴),

(2) 문왕 : ()과 친선, 신라와 교류(신라도 개설), 36부제 정비, (상경)으로 천도

(3) 선왕 : 대부분 말갈족 복속, (요동) 지역 진출, 신라와 접경, 지방 제도 정비(51562)

(4) 당과 대등한 지위 표시 : 독자적 연호 사용(인안대흥건흥), 천손 의식 표방

 

3. 발해의 통치 체제

(1) 기본 체제 : 36- 당의 제도 수용했으나 발해의 독자성 유지

(2) 발해의 독자성 : (정당성) 중심 운영, 좌사정우사정의 (이원적) 통치 체제, (유교식) 명칭의 6

 

4. 발해의 멸망

(1) 멸망 : 귀족의 권력 다툼으로 쇠퇴,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926)

(2) 부흥 운동 : 후발해, 정안국, 대발해국 등을 세우며 노력했으나 실패

(3) 전승 : 발해 멸망 후 발해 유민 일부는 (고려)에 흡수

 

 

4-3 남북국, 활발한 국제 교류를 통해 발전하다

 

1. 신라의 국제 교류

(1) 당과 교류 : (당항성) 통해 교류, (산둥 반도)에 신라방신라촌, 신라소, 신라원, 신라관 설치

(2) 사상 교류 : 유학생과 승려가 당과 인도 왕래, 신라의 유교불교가 일본에 영향

(3) 국제 무역항 : 울산항(이슬 람 상인 왕래), 당항성(중국 교류 거점)

(4) 장보고 활약 : 완도에 (청해진) 설치, -신라-일본을 잇는 동아시아 해상무역 장악

 

2. 발해의 국제 교류

(1) 일본과 교류 : 바닷길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지속적 교류(신 라 견제)

(2) 당과 교류 : (문 왕) 때 친선 관계 이후 활발히 교류, 산둥 반도에 (발 해 관) 설치

(3) 신라와 교류 : 상설 교통로인 (신라 도)를 통해 교역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