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부 국어 자료/수능 국어 대비

[2017 수능특강 국어]고전시가 '용비어천가' 원문 및 해설

여기가로두스 2016. 4. 19. 20:21

[2017 수능특강 국어]고전시가 '용비어천가' 원문 및 해설


[2017 수능특강 국어]고전시가 '용비어천가' 원문 및 해설.hwp


龍 飛 御 天 歌

1

󰍰 海東(부사격 조사 생략/조선을 창업한 여섯 임금) 六龍(육룡)샤 일마다(조선 창업의 일) 天福(천복=天佑神助)이시니.

󰍱 古聖(고성)(비교 부사격 조사) 동부시니.

 

󰏐 한 역 시

海東六龍飛(해동육룡)하사 莫非天所扶(막비천소부)시니 古聖同符(고성동부)이시도다.

 

󰏐 현대어 풀이

해동의 여섯 용이 나()시어 일마다 하늘의 복을 받으시니. 중국의 옛 성왕(聖王)과 딱 들어맞으시니.

짜 임 분 석

󰍰 육조의 행적비교← 󰍱 중국 성왕의 행적 조선 건국의 정당성

작 품 해 설

1/ 형식면 ; 대개의 장은 42절체의 대구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1장의 경우는 세 도막(3)이 이어진 한 줄(1) 형식으로 다른 장들에 비해 파격적이다.

2/ 표현면 ; 새 왕조의 창업이 하늘의 뜻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고, 이는 중국 역대 왕조의 창업과 다르지 않음을 비교의 방식으로 강조하고 있다.

핵 심 정 리

1/ 형 식 ; 13(파격장) 2/ 표 현 ; 비교법

3/ 핵심어 ; 天福 4/ 주 제 ; 조선 건국의 정당성

시어 연구

 

해동 ; 발해의 동쪽이란 뜻. 중원(중국)을 기준으로 우리 나라를 부르는 별칭. 청구(靑丘), 대동(大東), 태동(泰東), 제잠(鯷岑), 진단(震檀), 좌해(左海), 계림(鷄林), 근역(槿域) 등이 있다.

육룡 ; 여섯 용이라는 뜻으로 용비어천가가 지어진 세종 때를 기준으로 그의 여섯 조상을 가리켜 한 말. 목조(穆組), 익조(翼組), 도조(度組), 환조(桓組), 태조(太祖), 태종(太宗)을 가리킴.

 ; ()시어. 웅비하시어. 기본형) .

동부시니. ; 기본형) 동부.

<문법> 동부(동사 어간)+(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평서형 종결 어미)

<문법> (어간)+(매개모음)+(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종속적 연결 어미 탈락)

 

시구 연구

 

천복이시니 ; 하늘이 주신 복이시다.

<참고> 天福은 탕왕이 하의 걸을 죽이고 은나라를 세운 것이 천명에 의하여 복을 받은 것이라 한데서 유래된 말.

해동 육룡이  ; 조선 땅에 새로운 나라를 열기 위하여 육조께서 나시어 용비어천가가 지어진 세종 때를 기점으로 조선의 창업주인 태조, 태종과 더불어 추존(追尊)왕인 4(목조, 익조, 도조, 환조)까지 포함시키고 있다.

용이 날았다.’에서 은 왕을 상징하는 것으로, ‘하늘의 뜻을 받아 왕조를 건국하였다.’는 의미이다. 이는 왕권의 권위와 왕조 창업의 정당성을 상징하는 것이다.

일마다 천복이시니. ; 하시는 일마다 다 하늘이 내리신 복이시다. 육조의 사적에 천복이 따랐다고 말함으로써 조선 건국의 천명성을 강조하고 있다.

심화 학습 ; 1장의 해설

 

1장은 이 노래 전체의 서사로서, 가명(歌名) ‘용비어천가를 설명한 장이다. 우리 나라의 여섯 임금을 용에 비유하여 조선의 건국이 천명에 의한 정당한 것임을 중국 역대 성군의 사적과 비교하여 주장하고 있다. , 탕왕은 하나라의 걸왕을 쳤고, 무왕은 은나라의 주왕을 쳤으나, 탕왕과 주왕은 악정을 자행하는 왕을 천명에 의하여 친 것이며, 도탄에 빠진 백성을 구하여 선정을 베풀었기 때문에 성왕으로 불리었다. 이는 고대 역성 혁명의 사상으로 이씨가 고려를 멸하고 조선을 건국한 것 역시 이러한 천명에 의한 것이었으므로 정당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제1장은 역성 혁명을 정당화함으로써 민심을 설득하고 장악하려는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관련 문제

 

이 노래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4)

1/ 육조의 뛰어난 능력 찬양 2/ 중국 성왕 등의 업적을 흠모

3/ 중국 역대 왕조의 사적 소개 4/ 조선 건국의 정당성 강조 5/ 왕조 창업의 필연성 과시

이 노래의 표현 방식으로 바른 것은? (4)

1/ 시간적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2/ 대립적 심상을 제시하여 주제 의식을 강화시키고 있다.

3/ 동일한 문장 구조를 반복하여 반복의 묘미를 살리고 있다.

4/ 권위 있는 대상과의 비료를 통하여 정당성을 확인하고 있다.

5/ 대상에 대한 관조적 사색을 통해 경건한 분위기를 드러내고 있다.

해동 육룡이 샤 일마다 천복이시니와 관계 깊은 한자 성어는? (2)

1/ 형설지공(螢雪之功) 2/ 천우 신조(天佑神助) 3/ 간난 신고(艱難辛苦)

4/ 고진감래(苦盡甘來) 5/ 금상 첨화(錦上添花)

이 노래와 다음 노래의 공통점은? (3)

어버이 살아 계실 때 섬길 일을 다 하여라.

지나간 후면 애달프다 어찌하리?

평생에 고쳐 못할 일이 이뿐인가 하노라.

1/ 삶에 대한 진실한 성찰이 담겨 있다. 2/ 점층적 전개로 주제를 구체화하였다.

3/ 노래를 부르는 목적이 강하게 나타났다. 4/ 권위에 호소하여 주장을 합리화하였다.

5/ 타이르는 어법으로 친근감을 더했다.

의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3)

1/ 치세(治世) 2/ 문명(文明) 3/ 창업(創業) 4/ 정벌(征伐) 5/ 후생(厚生)

이 시와 같은 장르의 특성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1/ 국민 문학으로 성장 2/ 설득적인 목적 문학

3/ 송축적 내용의 시가 4/ 교술적 성격의 노래 5/ 궁중 주악의 가사

이 시의 내용으로 보아 이 작품의 창작 의도로 적절한 것은 (2)

1/ 영웅적 삶의 강조 2/ 독자에 대한 설득

3/ 개인적 정감의 표출 4/ 사회적 갈등의 표출 5/ 중국의 역대 제왕 찬양

이 시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태도로 가장 알맞은 것은? (3)

1/ 추모 2/ 권계 3/ 송축 4/ 동경 5/ 기원

천복이 함축하고 있는 상징적 의미는? (4)

1/ 육조 혈통의 고귀성 2/ 중국 성왕의 천명성 3/ 조선 왕실의 영원성

3/ 조선 건국의 당위성 5/ 육조 사적의 위대성

이 노래의 양식상 명칭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번역시 2/ 악장 3/ 서사시 4/ 송축시

이 노래에서 전체적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2음절어를 찾아 쓰라. 천복

이 노래에서 천복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지 5음절로 답하라.

천명성 강조

이 노래에서 고성동부의 상징적 의미로 알맞은 것은?

1/ 중국 성왕의 탁월성 2/ 조선 건국의 당위성 3/육조 혈통의 고귀성 4/ 제왕 도리의 권계성

이 글과 쌍벽을 이루는 조선 초기의 서사시에 속하는 작품을 쓰라. 월인천강지곡

이 글의 제작 동기가 아닌 것은?

1/ 훈민정음의 실용성을 실험함. 2/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중국에 알림.

3/ 6조의 찬양과 후왕에의 권계. 4/ 역성 혁명의 합리화

이 글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역어체 문장으로 됨 2/ 내용상 서사시에 속함

3/ 중국 건국자와 대비하여 표현함 4/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

고성이와 용법이 다른 것은?

1/ 부모온 거시라 2/ 나랏말귁에 달아

3/ 널라와 시름 한 나도 4/자식에게 지나고

고성이 가리키는 것은? 1/ 공자맹자와 같은 성인 2/ 조선 창업에 이바지한 임금들

3/ 단군이나 동명왕 같은 임금들 4/ 중국의 역대 건국자들

이 장 전체의 의미상 주어를 찾아 쓰라. 일마다

이 장의 핵심어를 찾아 쓰라. 천복

 

 

 

 

2

󰍰 불휘(주격조사 의 생략) 기픈 남 (‘는 원인 부사격 조사) 아니 뮐, (주격 조사 의 생략) 됴코 여름(주격 조사 의 생략) .

󰍱 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 내히 이러 바래 가.

 

󰏐 한 역 시

根深之木(근심지목)風亦不扤(풍역불올)일새, 有灼其華(유작기화)하고 有蕡其實(유분기실)이로다.

源遠之水(원원지수)旱亦不竭(한역불갈)일새, 流斯爲川(유사위천)하여 于海必達(우해필달)이로다.

 

󰏐 현대어 풀이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움직이지 아니하므로, 꽃이 좋고 열매가 많으니,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그치지 아니하므로, 내가 이루어져 바다에 가느니.

짜 임 분 석

󰍰 뿌리 깊은 나무-바람에 움직이지 않음-꽃이 좋고 열매가 많음튼튼한 국기(國基)

󰍱 샘이 깊은 물-가뭄에 그치지 않음-내를 이루어 바다에 감유서 깊은 왕실

작 품 해 설

1/ 형식면 ; 네 토막 한 줄이 하나의 절을 이루고 전체는 두 개의 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 절은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다.(2절의 대칭 구조)

2/ 표현면 ; 다른 장과는 달리 글 전체가 고유어로만 쓰였고, 중국 고사가 쓰이지 않았으며, 고도의 비유법을 구사하여 문학적 함축성과 참신성을 지니고 있다.

핵 심 정 리

1/ 형 식 ; 242/ 표 현 ; 대구법, 상징법

3/ 핵심어 ; , 여름, 4/ 주 제 ; 조선 왕조의 무궁한 발전 기원

시어 연구

 

불휘 ; 불휘>불위(탈락)>뿌리(된소리되기)

기픈 ; (어간)+(매개모음)+(관형사형 전성어미)

; 나무는. (명사)+(보조사) / 단독형 ; 나모(곡용어) / 주의 ; 공동격=나모와

나모는 모음으로 된 조사 앞에서는 끝 모음이 탈락하고 이 덧 생김

뮈다 ; 움직이다./ 믜다 ; 미워하다.

; =된소리되기, 거센소리되기

둏다 ; 좋다.() / 좋다 ; 깨끗하다.

여름 ; 열매 / 녀름 ; 여름, 농사

; 많습니다. 기본형) 하다. <문법> (어간)+(선어말 어미)+(반말의 평서형 어미)

그츨 ; 그치므로, 끊어지므로. 기본형) 긏다.

내히 ; 내가. 냇물이 / (곡용어)+(주격조사)

; 가다 / ; 가늘다.

 

시구 연구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움직이지(흔들리지) 않으므로./ ‘불휘 기픈 나모기초가 튼튼한 나라’, ‘나라를 흔들리게 하는 것, 즉 내우외환을 각각 상징하여 기초가 튼튼한 나라는 내우외환에 의해 흔들리지 않음을 나타냄.

조선의 건국이 여러 대에 걸친 튼튼한 터전 위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어떠한 어려움에도 쉽게 흔들리지 않을 것임을 상징법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곶 됴코 여름 하 ; 꽃이 찬란하게 피고 열매가 많이 열리느니./ ‘, 여름문화, ‘됴코, 문화가 융성, 왕손의 번영을 의미한다. 조선 왕조는 그 기초가 튼튼하므로(원인), 문화가 융성하여 그 결실을 풍부히 맺을 것임(결과)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그치지 아니하므로./ ‘미 기픈 믈유서가 깊은 나라’, ‘은 나라가 겪은 시련을 상징하고 있는데, 유서가 깊은 나라는 어떠한 어려움에도 영원히 번성할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전절의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와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불휘 기픈 나모미 기픈 믈, ‘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

내히 이러 바래 가.’ ; 냇물을 이루어 바다에 가느니라./ ‘바다로의 확장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조선 왕조가 영원히 발전, 번영할 것임을 전망하고 있다. 전절의 곶 됴코 여름 하와 대구를 이루고 있다.

등의 동적 심상어를 통하여 나라의 시간적 번영을 표현하였다.

 

심화 학습 ; 2장 해설

 

2장은 제1장과 더불어 용비어천가 전체의 서사에 해당하며, 근심장(根深章)이라고도 한다.

뿌리가 깊은 나무나, 샘이 깊은 물은 오랜 세월에 걸쳐서 비로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조선 왕조의 건국 역시 여러 조상들이 각고의 노력으로 쌓은 터전 위에서 건설되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떠한 어려움이 닥치더라도 능히 이를 극복하여 무궁한 발전과 문화의 번성을 이룰 것이라는 국가와 왕조에 대한 송축의 의미가 담겨 있다.

이 장은 다른 장들과는 달리, 중국 고사를 인용하지 않고 우리말만을 사용하여 심원한 뜻을 고도의 상징적인 수법을 구사하여 나타내었다. 새로 건국된 왕조를 지켜나가야 하겠다는 굳은 의지를 서정적 표현을 통해 담아 냄으로써 교술적 목적성을 상당히 극복하였다.

관련 문제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1/ 우리말의 묘미를 잘 살리고 있다. 2/ 자연 현상을 통해 인간사를 노래하고 있다.

3/ 고도의 상징적인 수법을 구사하였다. 4/ 정제된 형식미보다는 파격적인 미의식이 드러난다.

5/ 참신한 비유를 통해 송축적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

이 노래에 담겨 있는 목소리와 가장 유사한 것은? (5)

1/ 피부의 바깥에 스미는 어둠 / 낯 설은 거리의 아우성 소리/까닭도 없이 눈물겹구나.

2/ ! 그립다. / 내 혼자 마음 날 같이 아실 이 / 꿈에나 아득히 보이는가.

3/ 뼈에 저리도록 생활은 슬퍼도 좋다. / 저문 들길에 서서 푸른 별을 바라보자.

4/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5/ 님이여, 당신은 백 번이나 단련한 금결입니다. / 뽕나무 뿌리가 산호가 되도록 천국의 사랑을 받읍소서.

이 노래에서 각 구절들이 상징하고 있는 바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3)

1/ 불휘 기픈 나모-풍성한 문화 유산 2/ 매 아니 뮐-온갖 역경을 거쳤으므로

3/ 여름 하-문화가 융성한 것이니 4/ 미 기픈 물-후손이 번성한 나라

5/ 래 가-이상향에 대한 추구

이 노래에서 이 갖는 속성으로 적절한 것은? (1)

1/ 역경 2/ 근원 3/ 성장 4/ 과정 5/ 기원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의 논리적 관계로 바른 것은?(2)

1/ (+)→ㄷ 2/ (ㄱ→ㄴ)→ㄷ 3/ (=)→ㄷ 4/ ㄱ←(+) 5/ ==

이 시의 주제로 적절한 것은? (3)

1/ 조선 건국의 위대성을 송축함 2/ 육조의 영웅적 사적을 예찬함 3/ 조선의 영원한 발전을 기원함 4/ 후대 임금의 경천 근민을 권계함 5/ 천명을 받은 왕조의 정통성을 칭송함

이 시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4)

1/ 그 시대에 한자어를 하나도 사용하지 않았다니 놀랍군.

2/ 더구나 고도의 상징적 수법은 얼마나 절묘해?

3/ 그래, 시어의 함축성이 정말 뛰어나. 4/ 역시 고사를 인용하여야 깊은 뜻이 살아나.

5/ 구조적인 면에서도 정연한 형식미를 갖추고 있어

이 시의 전절과 후절의 관계는? (1)

1/ 병렬, 대구 2/ 인과, 대조 3/ 점층, 강조 4/ 유추, 비교 5/ 부연, 상술

내히 이러 바래 가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5)

1/ 조선의 무궁한 번영을 송축하였다. 2/ 동적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3/ 의지적 염원이 함축되어 있다. 4/ 심원한 상징적 의미를 표현하였다.

5/ 문화의 찬란한 발전을 예언하였다.(문화의 찬란한 발전은 전절에서 예언하였다.)

이 노래가 다른 장과 구별되는 특징은?

1/ 파격적 형식 2/ 상징적 표현 3/ 대칭적 구조 4/ 서사적 제재

뒷줄의 의 주어를 쓰라. 므른

이 글의 받침 표기법의 특징을 알 수 있게 하는 단어는? (용비어천가의 받침 표기=표의적 표기)

이 노래의 문학적 가치로 볼 수 없는 것은?

1/ 함축적인 언어 사용 2/ 중국의 고사와 역사 인용

3/ 우리말에 대한 세련된 감각 4/ 운율, 구조 등 정연한 형식미

이 글의 주제로 알맞은 것은?

1/ 조선 문화의 창달을 송축함 2/ 조선의 영원한 번영을 기원함

3/ 조선의 위대한 건국을 칭송함 4/ 조선 창업의 위대성을 예찬함

전절과 후절의 전체 주어를 각각 쓰라. 전절 ; , 후절 ; 므른

4

󰍰 (주나라 고공단보가) 狄人(적인)서리예 가샤 (사시는데) 적인이 외어늘, 岐山(기산)() 샴도  디시니.

(천심, 천복이니)

󰍱 (익조가) 野人(야인)서리예 가샤 (사시는데) 野人외어늘, 德源(으로) 샴도 하 디시니.

 

󰏐 한 역 시

狄人與處(적인여처)하사 狄人于侵(적인우침)이어늘, 歧山之遷(기산지천)實維天心(실유천심)이로다.

野人與處(야인여처)하사 野人不禮(야인불례)이어늘, 德源之徙(덕원지사)實是天啓(실시천계)이로다.

 

󰏐 현대어 풀이

오랑캐 사이에 가시어 오랑캐가 덤비거늘, 기산으로 옮아가심도 하늘의 뜻이시니.

오랑캐 사이에 가시어 오랑캐가 덤비거늘, 덕원으로 옮아가심도 하늘의 뜻이시니.

짜 임 분 석

󰍰 적인 서리에 감-적인이 침범함-기산으로 옮김고공단보에게 내린 천명

󰍱 야인 서리에 감-야인이 침범함-덕원으로 옮김익조에게 내린 천명 하늘의 뜻

작 품 해 설

1/ 형식면 ; 네 토막 한 줄이 앞뒤로 이어진 대칭 구조를 취하고 있다. 42구체의 대구 형식

2/ 표현면 ; 전절에는 주나라 대왕 고공단보의 고사를 소개하고 이에 익조의 고사를 대비시켜 민심이 천심이라는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핵 심 정 리

1/ 형 식 ; 242/ 표 현 ; 대구법, 비교법, 생략법

3/ 핵심어 ;   4/ 주 제 ; 익조에게 내린 하늘의 뜻

시어 연구

 

적인 ; 적인의. ‘적인은 중국 북쪽 변방의 오랑캐. ‘은 사잇소리.

<참고> 중국 본래의 한족(漢族)은 주변의 다른 민족을 동이(東夷), 서융(西戎), 남만(南蠻), 북적(北狄) 등으로 일컬었다.

<문법> 훈민정음 해례에 따르면, 한자음 아래이므로 이 아니라 이 오는 것이 원칙.

서리예 ; 사이에, 가운데에. <참고> 서리 ; 여럿의 가운데, 서리() /  ; 둘의 사이

기산 ; 중국 섬서성 봉산부 동쪽에 있는 산의 이름

<문법> 기산의 뒤에는 지향점 부사격 조사 생략되었음.

샴도 ; 기본형) 옮다. <참고> ; (어간)+(매개 모음)+(높임 선어말 어미)+(명사형 전성 어미, ‘는 탈락됨)+(보조사)

 디시니 ; 하늘의 뜻이시다.

<참고> 1/ (명사)+(체언의 받침과 초성 사이에 들어가는 사잇소리)

2/ (명사)+(서술격 조사 어간)+(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반말의 평서형 종결 어미)

>()>(받침 7종성법)

야인 ; 야인의, 여진족의. <문법> 적인의 경우와 같이 이 오는 것이 원칙임.

덕원 ; 함경남도에 있던 고을 이름.

<문법> 지향점 부사격 조사 으로’, 또는 처소 부사격 조사 가 생략되었음.

시구 연구

 

狄人(적인)서리예 가샤 적인이 외어늘 ; (주나라 고공단보가) 적인의 마을 빈곡에 가 사시는데, (적인을 달래어도 계속) 침범하거늘

<연구> 적인의 침략은 새로운 나라를 열기 위해서 겪어야만 했던 고난의 과정으로 창업의 어려움을 말하고 있다.

岐山(기산) 샴도  디시니. ; (오랑캐의 침범을 피하여) 기산으로 옮기실 제 수많은 사람들이 고공단보의 덕을 사모하여 그의 뒤를 따라간 것도 하늘의 뜻이다.

<연구> 하늘의 뜻천심또는 천복을 가리킨다.

<표현> 고공단보가 오랑캐의 침입을 피해 기산으로 옮길 때 대왕의 뜻을 흠모하는 백성들이 그의 뒤를 따랐다는 역사적 사실이 생략되어 있으므로, ‘하늘의 뜻(천우신조)이라는 구절에서 유추해야 한다. (생략법)

野人(야인)서리예 가샤 野人외어늘 ; (익조가) 야인(女眞)과 함께 경흥에서 사는데, 야인이 (익조의 덕을 시기하여 죽이려고) 침범하므로,

<연구> 익조의 위세와 덕망을 시기하는 여진족들이 그를 죽이려 하였다는 내용으로 창업의 어려움과 국기(國基)의 심원함을 강조하고 있는 구절이다.

<표현> 전절과 마찬가지로 서리예 가샤의 주체가 생략되어 있으며, 전절의 狄人(적인)서리예 가샤 적인이 외어늘과 대구를 이루고 있다.

德源(으로) 샴도 하 디시니. ; (여진의 침범을 피하여) 경흥에서 적도로, 다시 덕원으로 옮기실 때 경흥 백성들이 익조를 따른 것 또한 하늘의 뜻이시다.

<연구> 익조가 여진족의 침범을 피하여 경흥에서 적도로, 다시 덕원으로 옮길 때 바닷물이 빠지게 하는 기적을 베풀어 익조를 구하고 여진이 뒤따르지 못하게 하였으며, 경흥 백성들이 그의 뒤를 쫓아와 마치 저자를 이루듯 하였다고 한다. 이 모든 것이 하늘의 뜻이었음을 말하고 있다. 역사적 배경이 생략되어 있으므로 생략된 내용을 참고하여 하늘의 뜻이 가지는 의미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조선 개국이라는 천명이 이미 내려 있음을 암시

<표현> 이 구절 역시 전절의 岐山(기산) 샴도  디시니.’와 대응하고 있다.

 

심화 학습 ; 4장 해설

 

3장 목조의 고사에 이어 익조의 고사를 내용으로 한, 본사의 둘째 장으로 주나라 고공단보가 덕을 쌓음으로써 민심을 모았듯이, 익조 역시 덕망을 쌓았기 때문에 여진족을 피해 덕원으로 옮겼으나 민심이 그를 따랐고, 이것은 모두 하늘의 뜻이었다는 내용의 노래이다. 이 장은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하였고, 주인공들이 자신이 처한 역경을 하늘의 도움으로 극복하였다는 점등에서 영웅 서사시적 성격이 잘 나타나 있다.

 

배경 고사

 

<전절> 주나라의 고공단보가 빈곡에서 조상의 업을 이어받아 덕을 쌓을 때, 북쪽 오랑캐가 침범해 왔다. 이에 대왕은 여러 재물을 주어 달랬으나 침범이 계속되므로, 가솔을 거느리고 기산으로 옮겼다. 빈곡 사람들이 그의 덕을 흠모하여 뒤를 따르니, 저자(市場)과 같았다. 이는 다 하늘의 뜻이다.

<후절> 목조의 뒤를 이은 익조는 경흥의 오동에서 원() 벼슬을 하면서 그 위세와 덕망이 날로 높아졌다. 여진족들이 이를 시기하여 그를 죽이려 하므로 익조는 가솔을 배에 태워 적도에 모이게 하였다. 이 때 바닷물이 얕아져 익조와 그를 따르는 무리의 갈 길을 열어 주었다. 그 후 덕원으로 옮길 때에도 경흥 사람들이 뒤를 따랐다. 이것이 다 하늘의 뜻이다.

관련 문제

 

이 노래와 주제가 가장 유사한 것은? (2)

1/ 석벽에 말을 올리시어 도둑을 다 잡으시니, 몇 번 뛰어오르게 한들 남이 오르겠습니까?

2/ 섬 안에서 주무실 때 큰비가 사흘이나 왔지만 섬을 비우고 나서야 섬이 물에 잠기었습니다.

3/ 나라가 오래건마는 천명이 다해 가매, 시든 나무가 새 잎이 날 것입니다.

4/ 아버님을 뵐 때, 어머님 여의신 눈물을 좌우가 슬퍼하여, 아버님이 아들을 칭찬하시니

5/ 천 년 전에 미리 정하신 한양 땅에 인덕을 쌓아 개국하시어 점지받은 운수가 끝이 없으니

이 노래의 표현상 특징을 가장 잘 지적한 것은? (3)

1/ 상반된 사실의 대조 2/ 역사적 사실의 구체화 3/ 생략과 비교를 통해 균제

4/ 상징을 통한 함축과 전달 5/ 반복과 열거를 통한 강조

이 노래에서 핵심이 되는 시어는? (4) 1/ 적인 2/ 서리 3/ 4/   5/ 외어늘

이 노래와 표현 방식이 유사한 것은? (3)<참고-전절과 후절이 대응 구조로 이루어 졌다.>

1/ 수로 천리 먼 길 / 왜 온 줄 아나? / 예전 놀던 그대를 / 못 잊어 왔네

2/ 어둠은 새를 낳고, / 돌을 낳고, 꽃을 낳는다.

3/ 하늘은 날더러 구름이 되라 하고 / 땅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네.

4/ 하직을 말자, 하직 말자 /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

5/ 금사자야 / 금빛 바람이 인다. / 해바라기가 피었다.

이 노래의 전절과 후절에 나오는 가샤의 주체를 구체적으로 밝혀 쓰라.

전절-고공단보, 후절-익조

이 시를 영웅 서사시로 보려 할 때, 그 근거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1/ 단편적인 사건을 영탄조로 서술했다. 2/ 영웅들의 비범한 능력을 예찬하고 있다.

3/ 역사를 배경으로 하고 설화를 소재로 하였다.

4/ 이성계를 중심으로 하는 많은 영웅들의 활약상이 그려졌다.

5/ 영웅에 수반되는 준마, 무기, 무훈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었다.

이 시에서 주 왕실과 고사 비교를 통해 강조하고자 한 조선 건국의 세계관은? (5)

1/ 중국 지향의 사대주의 2/ 절대적 패도주의(覇道主義) 3/ 숭유 배불주의(崇儒排佛主義)

4/ 숭문 억무주의(崇文抑武主義) 5/ 성군의 덕치주의(배경고사를 참조)

이 시에서 주인공의 고난 극복 방식으로 적절한 것은? (3)

1/ 초인적 용맹 2/ 영웅적 행동 3/ 하늘의 도움 4/ 비범한 지혜 5/ 불굴의 의지

적인이 외어늘의 내포적 의미로 알맞은 것은? (4)

1/ 용맹 2/ 갈 등 3/ 전 쟁 4/ 시 련 5/ 친 선

 디시니과 바꾸어 쓰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1/ 천의(天意) 2/ 천기(天機) 3/ 천심(天心) 4/ 천명(天命) 5/ 천계(天啓)

이 노래의 주제어를 본문 중에 나오는 말로 쓰라. 

 과 기능이 같은 것은?

1/ 니르고져 (된소리 부호) 2/ (이영보래-입성 표시법)

3/ 펴디 몯(뒷말과 구별하는 중간 절음 부호) 4/ 헝ᅙ(사이소리)

 

 

48

󰍰 굴허에  디내샤 조기 다 도라가니 () 길 노 년기 디나리잇가.

(문맥상 ; 골목에) (설의법)

󰍱 石壁(석벽) 올이샤 도 다 자시니 현 번  미 오리잇가.

 

󰏐 한 역 시

深巷過馬(심항과마)하사 賊皆回去(적개회거)하니 雖半身高(수반신고)인들 誰得能度(수득능도)하리오.

絶壁躍馬(절벽약마)하사 賊以悉獲(적이실획)하니 雖百騰奮(수백등분)인들 誰得能陟(수득능척)하리오.

 

󰏐 현대어 풀이

구렁에 말을 지나게 하시어 도적이 다 돌아가니, 반 길의 높이인들 남이 지나리이까.

돌벽에 말을 올리시어 도적을 다 잡으시니, 몇 번을 뛰게 한들 남이 오르리이까.

짜 임 분 석

󰍰 금 태조의 용맹비교→󰍱 조선 태조의 용맹 조선 태조의 초인적 용맹 찬양

작 품 해 설

1/ 형식면 ; 네 토막 한 줄이 앞뒤로 이어져 전절과 후절이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표현면 ; 전절에서 금 태조의 용맹을 제시한 후, 후절에서 조선 태조의 용맹을 대비시키고 있다. 또한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다른 어휘를 선택하여 시적인 변화를 주고 있음이 특징이다.

핵 심

정 리

1/ 형 식 ; 242/ 표 현 ; 대구법, 비교법, 설의법

3/ 핵심어 ; 석벽에 말을 올이샤 4/ 주 제 ; 조선 태조의 초인적 용맹 찬양

시어 풀이

 

굴허에 ; 구렁에. 좁은 골짜기에. ‘굴헝이라는 명사에 (처소격 조사)’가 결합된 형태.

<문법> 굴헝>굴엉>구렁>(‘과 모음 사이에서의 탈락, 이어적기)

디내샤 ; 지나게 하시어. 지나가게 하시어. ‘디나다에 사동 접미사 가 결합된 형태.

() 길 노 ; 반 길 높이라 한들. <참고> () ; 길이의 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 / () ; ‘종성(받침) 체언 <문법> -; 비특수 보조사로서, 체언 뒤에 붙어 양보와 반문을 겸하여 라 할지라도 어찌의 뜻으로 쓰임.

년기 ; 남이 <문법> 녀느(덧생김)+(주격 조사)년기 <참고> 시적 변화미를 주기 위하여 어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었다. ) 년기()-(), ()-()

올이샤 ; 올라가게 하시어. 기본형) 올이다에 사동 접미사 가 결합된 형태.

; 뛰어오르게 한들. 기본형) ‘우다에 사동 접미사 가 결합된 형태

리잇가 ; 오르겠습니까. 오를 수 있겠습니까.

<참고> 잇가 / 잇고’ ; ‘잇가는 의문사가 없을 때 쓰이고, ‘잇고는 의문사와 호응한다.

<문법> (어간)+(미래 선어말 어미-가능)+(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의문형 종결어미)

 

시구 연구

 

굴허에  디내샤 조기 다 도라가니 ; (금나라 태조가) 막다른 골목에서 말을 지나가게 하시어, (뒤쫓아온) 요나라 군사가 다 돌아가니

<연구> 중국 금나라 태조가 적들의 추격에 쫓겨 막다른 길목에서 위급한 상황에 처하였으나 앞길을 가로막은 언덕을 뛰어넘는 용맹을 발휘하였다는 고사가 생략과 압축을 통해 간결하게 제시되어 있다.초인적 능력

() 길 노 년기 디나리잇가. ; (금 태조는 높은 언덕을 뛰어넘었으나) 그 높이가 반 길일지라도 남들(쫓던 도적들)이 어찌 이를 넘어 지나갈 수 있겠습니까?

<연구> 남다른 금 태조의 용맹과 능력을 칭송하고 있다.

<표현> 보통 사람과는 다른 금 태조의 능력을 설의법을 통해 강조하고 있다.

石壁(석벽) 올이샤 도 다 자시니 ; (고려 우왕 때 이 태조가 왜구가 진을 치고 있는) 석벽에 말을 타고 올라가시어 왜적을 다 잡으시니

<연구> 말을 올리시어를 의역하면 말을 타고 올라가시어의 의미가 된다. 태조는 자신의 휘하에 있던 비장과 아들 방원을 보냈으나 도무지 오르지 못하자 자신이 말을 타고 한달음에 올라 왜적을 섬멸하였다는 내용으로 태조의 용감성과 뛰어난 능력을 예찬하는 부분이다.

<표현> 전절의 굴허에  디내샤 조기 다 도라가니와 대응하는 구절로 금 태조의 용맹과 이성계의 용맹이 비교되고 있다.

현 번  미 오리잇가. ; 여러 번 뛰어오른들 그들이 (비장과 이방원이 석벽에) 올라갈 수 있었겠습니까. <연구> 비장과 이방원의 능력을 이성계의 능력과 대조시킴으로써 그의 초인적인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표현> 다른 사람과의 대조를 통해 이 태조의 뛰어남을 설의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 구절은 () 길 노 년기 디나리잇가.’와 대응하고 있다.

 

배경 고사

 

<전절> 금나라 태조가 군영을 나와 적을 많이 죽이고 돌아오는데, 적병들이 뒤를 쫓았다. 마침 길이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고, 앞에는 한 길이나 되는 언덕이 있었다. 태조가 말을 채찍질하여 이를 뛰어넘으니 따라오던 적들은 더 이상 쫓지 못하고 돌아가 버렸다.

<후절> 고려 우왕 때 이 태조가 해안선을 침범한 왜적을 지리산에서 무찌를 때, 쫓기던 왜적이 산의 절벽 위에 올라가서 칼을 뽑고 창을 세우니, 그 모양이 마치 고슴도치 같았다. 태조는 비장과 이방원에게 가서 치라 하였으나 벼랑이 높고 험하여 오르지 못하였다. 그러자 태조는 몸소 말을 달리어 칼을 휘두르며 번개같이 한달음에 올랐다. 이에 군사들이 뒤쫓아와서 왜적을 섬멸하였다.

 

심화 학습 ; 48장 해설

 

조선 태조가 남북으로 외적을 물리쳐 도탄에 빠진 나라와 백성을 구제하고 영웅적인 활약상은 용비어천가33장부터 66장에 이르기까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영웅 서사시의 일반적 구조상 절정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영웅이 겪는 시련과 투쟁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장에서는 아랫사람들의 능력과 이성계의 능력을 대비시켜 그의 능력이 초인적인 것임을 강조하여 그의 영웅적 면모를 찬양하고 있다. , 비장과 이방원이 해내지 못한 일을 이성계가 용맹스럽게 처리하였음을 밝힘으로써 다른 사람에 비해 그의 능력이 탁월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 장은 영웅의 역사적 행위를 장중하고 웅대하게 묘사함으로써 용비어천가가 우리 나라 최초의 영웅 서사시로 간주되는 구체적인 근거가 되고 있다.

 

관련 문제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된 것은? (3)

1/ 전절과 후절이 대칭 관계에 있다. 2/ 주인공들의 행적을 소개하고 이에 논평을 달고 있다.

3/ 상징적 어휘를 사용하여 신성미를 높이고 있다.

4/ 서사적 내용을 생략과 압축을 통해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5/ 대상들이 가지는 유사한 속성을 대응시키고 있다.

표현 기법으로 보아 다음의 밑줄 친 부분과 유사한 어휘의 묶음으로 볼 수 있는 것은?(4)

<참고 ; 시적 변화를 위해 동일어의 중복을 피하여 다른 어휘를 선택하고 있다.)

앞밭에는 당추 심고/ 뒷밭에는 고추 심어/ 고추 당추 맵다 해도/ 시집살이 더 맵더라.

1/ 굴헝-석벽 2/ 디내샤-올이샤 3/ 반 길-현 번

4/ 년기-5/ 디나리잇가-리잇가

이 노래의 주제와 가장 가까운 것은? (3)

1/ 경천 근민(敬天勤民) 2/ 천우 신조(天佑神助) 3/ 성인 신력(聖人神力)

4/ 제폭 구민(除暴救民) 5/동고 동락(同苦同樂)

이 노래에서 대상을 대하는 시적 화자의 시각으로 적절한 것은? (5)

1/ 대상의 내면 세계를 해명 2/ 대상들의 상반된 특성을 비교

3/ 객관적 사실만을 충실하게 전달 4/ 현재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평가

5/ 대상이 가지고 있는 비범성을 예찬

이 시의 성격과 관계 깊은 문학의 효용은? (3)

1/ 독자에게 흥미를 제공한다. 2/ 독자의 삶의 갈등을 해소시켜 준다.

3/ 독자에게 작자의 생각을 심어 준다. 4/ 작자의 세계와의 갈등을 승화시켜 준다.

5/ 작자의 본능적인 감정 표현 욕구를 충족시켜 준다.

이 시를 영웅 설화의 구조와 비교할 때 이 장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1)

1/ 비범한 능력을 보인다. 2/ 빛나는 업적을 수립한다.

3/ 고귀한 혈통을 지니고 태어난다. 4/ 여러 차례의 시련과 역경을 맞이한다.

5/ 투쟁 끝에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한다.

이 시에서 주인공의 영웅적 면모를 부각시키기 위해 제시한 상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비극적 상황 2/ 보편적 상황 3/ 한계적 상황 4/ 설화적 상황 5/ 절망적 상황

미 오.’는 등장 인물의 어떤 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인가? (5)

1/ 무능성/비속성 2/ 천명성/신성성 3/ 영웅성/탈속성 4/ 초월성/무한성 5/ 비범성/초인성

굴허에’(a), '디내샤'(b), ''(c), '년기'(d), '디나리잇가'(e)에 대한 풀이로 알맞지 않은 것은? (5)

1/ a ; 후절의 석벽과 대응하며 극복의 대상이다.

2/ b ; 영웅으로서의 탁월한 고난 극복의 능력을 나타낸 말이다.

3/ c ; 상황을 가정하고 있다.

4/ d ; 시적 변화를 주기 위하여 후절에서는 라로 표현했다.

5/ e ; 설의법을 써 무사히 지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이 노래의 주제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성인신력(聖人神力) 2/ 경천근민(敬天勤民) 3/ 천우신조(天佑神助) 4/ 고성동부(古聖同符)

용비어천가에서 생략과 압축의 기법이 많이 나타나는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서사적 내용을 운문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2/ 조선조의 문예 창작의 경향을 반영하려고

3/ 상징에 의해 신성미를 더욱 높이려고 4/ 한시로 옮기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이 글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영웅적 행위의 제시 2/ 초인적 능력의 예찬

3/ 중국 창업주의 전통 계승 4/ 새 왕조의 정통성 확보

시적 변화를 주기 위해 쓰인 시어의 짝을 쓰라. 년기,

이 글에 사용된 수사법 둘을 쓰라. 대구법, 설의법

로 바꿀 때 이에 호응되도록 리잇가의 어형을 고쳐 쓰라. 리잇고

67

󰍰   자거늘 밀므리 사리로나거(주체 ; 백안의 군사) 니이다.

󰍱 셤 안해 자제 한비(zero) 리로뷔어(주체 ; 이성계) 니이다.

 

󰏐 한 역 시

宿于江沙(숙우강사)不潮三日(부조삼일)이로되 迨其出矣(태기출의)江沙迺沒(강사내몰)이니이다.

宿于島嶼(숙우도서)大雨三日(대우삼일)이로되 迨其空矣(태기공의)島嶼迺沒(도서내몰)이니이다.

 

󰏐 현대어 풀이

강가에 자거늘 밀물이 사흘이로되 떠나야 잠기었습니다

섬 안에 자실 제 큰 비가 사흘이나 내리되 비우고서야 잠기었습니다.

짜 임 분 석

󰍰 하늘이 백안을 도움비교→󰍱 하늘이 이성계를 오움 천우신조(天佑神助)

작 품 해 설

1/ 형식면 ; 네 토막이 한 절을 이루고 있고, 두 절은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다.

2/ 표현면 ; 원나라 백안의 고사를 소개한 후, 이성계의 고사를 서술하는 대구 형식을 이루고 있다. 이 장은 영웅 서사시의 일반적 전개 과정에서 영웅이 겪는 위기와 시련, 그리고 이의 극복에 해당한다. 또한 이 장은 순 우리말로 서술된 것이 특징이다.

핵 심 정 리

1/ 형 식 ; 242/ 표 현 ; 대구법, 비교법

3/ 핵심어 ; 비어야 자마니이다. 4/ 주 제 ; 천우 신조

시어 풀이

 

 ; 강의. <문법> 이 무정 명사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이 결부된 것임.

 ; 가에, 가장자리에. ‘(처소 부사격)’가 결합된 형태

<문법> (무정명사)+(처소 부사격 조사(울림소리 되기, 이어적기)

자거늘 ; 자거늘, ‘주둔하고 있었는데의 의미. <참고> 거늘,은 다음 내용을 제약하는 종속적 연결어미나 여기서는 다음 내용을 이어 설명해 준다.

밀므리 ; 밀물이 <참고> 밀물>혈믈(썰물)

리로; 사흘이로되, 사흘이지만. <참고> 서술격 조사 이다, 형용사 아니다를 어간으로 하는 경우에 선어말 어미 ‘--’나 어미 -는 각각 ’--‘, ’-로 교체된다.

나거 ; 나가서야, 나가니까. 기본형) 나다.()

니이다. ; 잠기었습니다. 기본형) ()

<문법> (어간)+(매개 모음)+(객관적 믿음의 선어말 어미)+(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평서형 종결 어미)

; . 문맥상 위화도를 가리킨다.

안해 ; ()

; 기본형) 자다.

<문법>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관형사형 어미, ‘는 된소리 부호)

뷔어 ; 비어서야, 철수하고 나서야. 기본형) 뷔다.

 

시구 풀이

 

  자거늘 밀므리 사리로 ; (원나라 승상 백안이 송나라를 치려고) 전당강 가에 군대를 주둔시켜 잠을 잤으나, (물이 잠기면 원나라 군사들이 무력해지리라 생각하고 다행으로 여겼던 송나라 사람들의 예상과는 달리) 사흘이 지나도록 밀물이 들어오지 않다가

<연구> 여기에서 밀물은 영웅에게 닥친 위기시련고난을 암시하는데, 그 밀물이 들어오지 않았다는 것은 하늘의 도움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나거 니이다. ; (백안의 군대가 강가를) 떠나서야 (강변이 물에) 잠기었습니다.

<연구> 천우 신조에 의해 위기를 극복하였다는 의미이다.

셤 안해 자제 한비 사리로 ; (이성계가 요동을 치러 북진하던 중에, 압록강 가운데의) 위화도에 머물러 주무실 때에 장마가 사흘이나 계속되었지만

<연구> 이 구절은 전절의   자거늘 밀므리 사리로와 의미상 동일하며, 영웅 서사시에서 나타나는 영웅의 시련과 위기를 의미한다. 전절 고사의 주체는 원나라 승상 백안이었으므로 자거늘로 표현하였으나, 이 구절의 주체는 태조 이성계이므로 주체를 높이는 선어말 어미 ‘--’가 결합되어 로 표기되어 있다.

<표현> 전절과 의미상, 표현상 대구를 이루고 있다.

뷔어 니이다. ; (이성계가 회군하여 섬이) 비어서야 (그제서야) 잠기었습니다.

<연구> 이성계가 하늘의 도움으로 위기를 극복하였음을 강조하는 구절이다. 또한, 이 구절은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을 천명의 차원에서 합리화하고 있다.

 

배경 고사

 

<전절> 원나라 세조 때의 승상 백안이 송나라를 치려고 전당강 가에 군대를 주둔시키니, 송의 항주 사람들은 곧 밀물이 닥쳐서 군대가 물에 잠길 것으로 생각하여 이를 다행스럽게 여겼다. 그러나 사람들의 예상과는 달리 사흘이 되도록 밀물은 닥치지 않았으며, 백안의 군대가 떠나간 뒤에야 비로소 물이 들어와서 강가가 물에 잠기었다.

<후절> 고려 말 우왕과 최영은 이성계를 압록강으로 보내어 요동을 치게 하였다. 이 때 이성계는 위화도에 진을 쳤는데, 여러 날 장마가 졌으나 위화도에 물이 크게 불어나지 않더니, 회군하여 군대가 강둑에 이르자 큰물이 닥쳐서 온 섬을 휩쓸어 갔다. 이를 두고 사람들은 모두 기이하게 여겼는데, 이는 곧 천명이다.

 

심화 학습 ; 67장 해설

 

67장은 68장과 더불어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을 정당화한 내용이다. 원나라 때의 승상 백안이 강가에 진을 치는 것을 하늘이 금하지 않고, 밀물이 들어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 것은 천명이 원나라에 내려진 것을 천하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이와 같이 태조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할 때, 하늘이 비를 내리지 않아야 할 것임에도 여러 날 비를 내리고, 그 물을 딴 데로 돌려서 위화도가 잠기지 않게 하였다가 회군 후 물이 닥치게 한 것은 하늘의 뜻을 사람들에게 보여 주기 위한 것이었다. 이렇게 천우신조를 주제로 한 이 장은 천명이 신이(神異)로 나타남을 보여 주었고, 이것이 역성 혁명의 계시임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 장은 악장인 정도전의 정동방곡과 내용상 관련이 된다. 그리고 제2장과 더불어 순 우리말로 꾸며진 것이 특징이다.

 

관련 문제

 

이 노래를 통해 부각시키고자 하는 바는? (3)

1/ 인물들의 초월적 능력 함양 2/ 기이한 현상에 대한 경외 3/ 천명에 의한 시련의 극복

4/ 위기 상황의 슬기로운 극복 5/ 인물들에 대한 백성들의 존경

이 노래의 인물들이 처했던 상황으로 적절한 것은? (4)

1/ 고군분투(孤軍奮鬪) 2/ 자포자기(自暴自棄) 3/ 일패도지(一敗塗地) 4/ 간두지세(竿頭之勢)

다음 밑줄 친 것 중 밀물한 비의 함축적 의미와 유사한 것은? (3)

1/ 노래를 부르는 이가 많되, 천명을 모르시므로 하늘이 으로 알리시도다.

2/ 몸에 병이 없으시지만 저 집에 가려하시니, 하늘이 을 내리시도다.

3/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그치지 아니하므로, 내를 이루어 바다에 갑니다.

4/ 임금이 어질었지만 태자를 못 얻으시매, 죽은 나무가 일어선 것입니다.

5/ 충성이 매우 뛰어났으므로, 죽다가 살아난 백성들이 아드님께 곤룡포를 입히시다.

다음의 영웅 서사시의 일반적 전개 과정 중, 이 노래와 관계 깊은 단계는? (2)

A ; 기이한 출생

B ; 고난과 시련

C ; 하늘의 도움이나 초인적 능력으로 시련 극복

D ; 영웅적 과업 성취

1/ A-D 2/ B-C 3/ C-D 4/ A-C 5/ B-D

니이다의 대상을 찾아 두 어절로 쓰라. 셤 안

이 시의 취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5)

1/ 역사적 사실의 제시 2/ 영웅적 욤맹의 예찬 3/ 중국과 조선의 사적 비교

4/ 천명의 필연성 강조 5/ 조선 창업의 정당성 천명(闡明)

이 시의 주제 의식과 공통적인 것은? 1)

1/ () 높고 리 업건마히 보  톤 자히 리시니.

2/ () 우희 닐흔 살 쏘샤 닐흐늬 치 맛거늘 개가(凱歌)로 도라오시니

3/ 활 쏘리 건마무덕(武德)을 아시니 무덕으로 백성을 구()시니

4/ 로 제도(制度)인정(仁政)을 맞됴리라 하우흿 금척(金尺)리시니

5/ 리예  넌즈시 치시니 성인 신력(神力]을 어.

이 시의 주제와 관계 깊은 것은? (2)

1/ 타산지석(他山之石) 2/ 천우신조(天佑神助) 3/ 경천근민(敬天勤民)

4/ 동천감신(動天感神) 5/ 천재일우(千載一遇)

밀믈한 비의 영웅 서사시적 기능은? (3)

1/ 하늘의 섭리 2/ 비범한 능력 3/ 시련과 고난 4/ 하늘의 가호 5/ 영웅의 항거

한 비과 같은 뜻으로 쓰인 것은? (2)

1/ 낮이 되어서야 일어났다. 2/ 육교를 두고 길을 건너는 것은 위험하다.

3/ 너와 나는 이제 반이 되었다. 4/ 데서 하룻밤을 지새웠다.

5/ 겨울의 추위가 닥칠 것이다.

이 노래와 제재가 같은 정도전의 악장은?

1/ 납씨가 2/ 정동방곡 3/ 문덕곡 4/ 신도가

이 노래의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4자의 한자 성어를 쓰시오. 천우신조(天佑神助)

이 노래의 뒷줄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명은? 위화도 회군

이 글의 주제로 알맞은 것은? 천우신조(천우신조)

 

125

󰍰 千世(천세) 우희 미리 ()(주체 ; 하늘) 漢水(한수) (), 累仁開國(누인개국)(주체 ; 육조) 卜年(복년)업스시니,

󰍱 聖神(성신=聖子神孫, 왕손)이 니샤도 敬天勤民(경천근민), 더욱 (국운이, 왕권이)구드리시이다.

󰍲 임금하, 쇼셔. 洛水(낙수)山行(산행) 가 이셔(주체 ; 하나라 태강왕) 하나빌 미드니잇가.

 

󰏐 한 역 시

千世黙定(천세묵정)漢水陽(한수양)累仁開國(누인개국)하샤 卜年無疆(복년무강)이시니,

子子孫孫(자자손손)聖神雖繼(성신수계)하셔도 敬天勤民(경천근민)하시어야 迺益永世(내익영세)하시리다.

嗚呼(오호)嗣王監此(사왕감차)하소서 洛表遊畋(낙표유전)하사 皇祖其恃(황조기시)니이까.

 

󰏐 현대어 풀이

천세 전에 미리 정하신 한강 북쪽에, 여러 대를 물린 어진 임금이 나라를 여시어 왕조가 끝이 없으시니, 성신이 대를 이으시어도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부지런히 섬겨야 더욱 굳건할 것입니다.

임금이여, 아소서. 낙수에 사냥을 가 있으면서 조상만 믿으시겠습니까?

짜 임 분 석

󰍰 국운에 대한 송축 󰍱 후왕에의 권계 󰍲 전철의 교훈후대 왕에 대한 권계

작 품 해 설

1/ 형식면 ; 내용상 세 토막이 각기 한 줄로 이어진 형태로 제1장과 함께 형식적 파격을 보이고다.

2/ 표현면 ; 나라의 수도를 찬양하고, 국운을 송축하는 내용에 이어, 중국의 역사적 사실을 예로 들어 후대 왕들에게 설의적인 표현으로 권계하고 있다.

핵 심 정 리

1/ 형 식 ; 29구체(파격장) 2/ 표 현 ; 거례법, 설의법

3/ 핵심어 ; 경천근민 4/ 주 제 ; 후대 왕에 대한 권계

시어 풀이

 

千世(천세) ; 천 대, 먼 옛날

우희 ; 위에, 여기서는 시간적인 개념으로 ()’에의 뜻 / +(특수 처소부사격조사)

(); 정하신. 기본형) .

漢水(한수) () ; 한강의 북쪽 땅에, 한양에

累仁開國(누인개국); 어짊()을 쌓아 나라를 여시어

卜年(복년) ; 점쳐서 행한 햇수. 여기서는 점쳐 얻은 왕조의 운명이라는 뜻

업스시니 ; 그지없으시니. 기본형) 없다.

<문법> (어간)+(매개 모음)+(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종속적 연결어미)

聖神(성신) ; ‘성자신손(聖子神孫)’의 줄임 말. 위대한 후대 왕. 훌륭한 왕손

샤도 ; 기본형) 닛다. <문법> ; (어간)+(매개 모음)+(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종속적 연결어미-‘는 탈락된 형태)

敬天勤民(경천근민) ;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부지런히 보살피시어야.

구드리시이다. ; 굳으실 것입니다. 기본형) 굳다.

쇼셔 ; 아십시오. 아소서. 기본형) 알다.

洛水(낙수); 낙수에. ‘낙수황하의 지류.

山行(산행) ; 사냥 >>(탈락)>(이어적기)사냥

<참고> 山行은 고유어 을 한자로 빌려 쓴 차자(借字)

하나빌 ; 할아버지를, 조상을. 문맥상 ()나라의 우왕을이란 뜻

<문법> 한아비(명사)+(목적격 조사) / 한아비>할아비(활음조)

 

시구 연구

 

千世(천세) 우희 미리 ()漢水(한수) (); 먼 옛날에 (도읍지로) 정하신 한강 북쪽(한양) <연구> 千世(천세) 우희천년 전이라는 뜻이나 이는 먼 옛날을 뜻하는 관용적 표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한수 북은 도선의 풍수 지리설에 의하면 水之北曰陽(강의 북쪽을 이라 한다.)이라고 하였으므로, ’한양을 가리킨다.

累仁開國(누인개국)卜年(복년)업스시니 ; 어진 덕을 쌓아 나라를 여시니 <연구> 누인어진 덕을 거듭 쌓다.’의 뜻으로 그 주체는 육조(六祖)이다. ‘복년은 점을 쳐서 정한 햇수를 뜻하나, 여기서는 하늘이 점지해 준 나라의 운명을 의미한다. 국도(國都)를 찬양하는 내용에 이어 국운이 영원할 것임을 송축하고 있다.

聖神(성신)이 니샤도 敬天勤民(경천근민), 더욱 구드리시이다. ; 아무리 훌륭한 후대 왕이 대를 이으셔도 경천 근민하셔야만, 나라의 운수가 더욱 굳어질 것입니다.

경천근민은 이 장의 핵심어이다. 교훈적, 설득적 성격의 주제항이다.

<연구> 후왕들에게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데 게을리하지말 것을 권계하고 있다.

임금하, 쇼셔. 洛水(낙수)山行(산행)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잇가. ; 후대의 임금이시여, 아십시오. 낙수에 사냥 가 있으면서 (백 일이 되도록 돌아오지 않아, 폐위를 당하였으니, 태강왕 당신은) 할아버지의 덕망만을 믿었습니까?

<연구> 하나라 우왕의 손자 태강왕의 고사를 인용하여, 후대의 왕은 개국 성왕의 성덕만으로 왕권이 이어질 것이라고 안이한 생각을 버리고 스스로 경천 근민할 것을 설의적 표현으로 권계하고 있다.

 

배경 고사

 

<도선의 비결서> 신라 말의 승려 도선의 비결서에 의하면, 삼각산의 남쪽, 곧 한수의 북쪽에 도읍을 정하면 나라가 흥한다는 말이 있었다고 한다.

<하나라 태강왕의 고사> 중국 하나라 태강왕이 놀음에 빠져 그 덕을 잃으니 백성이 모두 다른 마음을 먹었다. 그런데도 할아버지 우왕의 덕만 믿고 그 버릇을 고치지 못하더니, 마침내는 낙수 밖으로 사냥 간 지 백 일이 넘어도 돌아오지 않으므로, ()의 제후인 예(羿)가 백성을 위해 참을 수 없어 임금(태강)을 폐위시켜 버렸다 한다.

 

심화 학습 ; 125장 해설

 

이 장은 용비어천가의 대단원을 이루는 마지막 장으로, 110124장의 무망장(毋忘章)을 대표하는 작품 전체의 총 결사에 해당한다.

조상의 어진 덕으로 개국한 나라의 운명은 영원할 것이라는 국운 송축에 이어, 하나라 태강왕의 고사를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삼아 왕조의 무궁한 발전을 위해서 후대 왕들은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데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함을 권계하고 있는 계왕훈(戒王訓)의 장으로, 작품 전체의 시상을 마무리짓고 있다. 형식면에서는 2줄이 아니라, 3줄로 이루어졌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관련 문제

 

이 노래와 일치하지 않는 것은? (4)

1/ 하늘이 점지해 준 국운은 영원할 것이다.

2/ 후대 왕들은 경천 근민에 힘써야 할 것이다.

3/ 새 나라의 도읍지는 오래 전에 정해져 있었다.

4/ 개국 성왕들이 이룬 덕은 만고에 불변할 것이다.

5/ 국정을 소홀히 하면 국가에 혼란이 있을 것이다.

이 노래에 담겨 있는 시적 화자의 태도를 순서대로 묶은 것은? (5)

1/ 회상-비판 2/ 찬양-회고 3/ 기원-비난 4/ 예찬-참회 5/ 송축-권계

이 노래의 주제를 집약하고 있는 핵심어를 찾아 쓰라. 경천근민

洛水(낙수)山行(산행) 가 이셔를 통해 나타내고자 한 시적 화자의 의도로 적절한 것은? (1)

1/ 타산지석(他山之石) 2/ 고장 난명(孤掌難鳴) 3/ 호사 다마(好事多魔)

4/ 사필귀정(事必歸正) 5/ 대기 만성(大器晩成)

a) 우희, b) 卜年(복년)업스시니, c) 聖神(성신)이 니샤도, d) 구드리시이다, e) 미드니잇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4)

1/ a ; 원래 공간 개념이지만 여기서는 시간 개념으로 쓰였다.

2/ b ; 국운의 영원한 융성을 기원하고 있다.

3/ c ; ‘아무리 훌륭한 왕이 대를 잇는다 하더라도의 의미이다.

4/ d ;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의구심을 보이고 있다.

5/ e ; 믿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설의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 시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3)

1/ 조선 창업은 천 년 전부터 미리 예언되어 있었다.

2/ 조선 건국은 여러 대에 걸쳐 조상들이 덕을 쌓은 결과이다.

3/ 성스러운 자손이 계속 왕위를 이어 조선은 영원 무궁할 것이다.(경천근민하지 않으면 안됨)

4/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부지런히 다스림은 임금으로서의 가장 중요한 일이다.

5/ 조상의 덕망을 믿고 정사(政事)를 게을리한다면 나라가 위태로워질 것이다.

이 시에서 작자가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바는? (4)

1/ 천명의 강조 2/ 국운의 송축 3/ 성신의 계승 4/ 교훈의 제시 5/ 육조의 업적 예찬

이 시의 표현 내용을 순서대로 바르게 배열한 것은? (1)

1/ 송축권계당부 2/ 예찬경계설명 3/ 설득예언교훈

4/ 예언권계설득 5/ 송축설득설명

우희'(a), '卜年'(b), '敬天勤民'(c), '하나빌'(d), '미드니잇가.'(e)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

1/ a ; 시간적 개념을 공간적 개념으로 환치하였다.

2/ b ; 숙명 극복의 의지가 표출되어 있다.(당시의 숙명론적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다.)

3/ c ; 후왕에게 주는 교훈의 핵심적 내용이다.

4/ d ; 행위의 내용은 누인개국(累仁開國)이다.

5/ e ; 교훈과 질책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 노래에서 후세 왕에게 강조한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왕도(王都)가 천 년 전에 정해진 일. 2/ 왕조(王朝) 운명이 무궁히 이어질 일

3/ 왕위를 성신(聖神)이 이어갈 일 4/ 왕권을 경천근민(敬天勤民)으로 지켜가는 일

이 글의 주제와 관계되는 것은?

1/ 송축(頌祝) 2/ 국권(國權) 3/ 권계(勸戒) 4/ 예언(豫言)

하나빌이 지칭하는 인물명은? 하 우왕

하나비의 행위로 볼 수 있는 어절을 찾아 쓰라. 累仁開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