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04

[현대시 해설 및 문제 모음] 이용악 <전라도 가시내>

해제 전라도 가시내는 1947년에 발표된 시입니다. 이 시의 전체적인 상황은 북간도의 술집을 배경으로 전라도 소녀와 함경도 사내의 만남을 통해, 고향을 떠나 타지인 북간도에서 살 수밖에 없는 민족 수난의 비애를 다루고 있는 작품입니다. 갈래: 자유시, 서정시, 이야기시 성격: 서사적, 애상적, 서정적 주제: 북간도로 떠밀려 간 우리 민족(유랑민)의 비극적 삶 표현상의 특징: 서사적 구성(이야기 형식)을 통해 우리 민족의 비극적 삶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함. 토속적인 시어와 사투리의 사용, 감각적 시어 사용 본문 해설 전라도 가시내 ⤷계집 아이를 지칭하는 경상도·전라도 방언 알룩조개에 입 맞추며 자랐나 눈이 바다처럼 푸를 뿐더러 까무스레한 네 얼굴 (1~2행: 가시내의 외모를 감각적으로 묘사함) ⤷직유법 ⤷색..

[고전시가 해설] 정석가 해석 및 문제 모음 [EBS 수능 특강 완성 문학]

정석가는 임과의 영원한 사랑을 노래하는 작품으로, 역설법과 반어법이 돋보이는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고려 갈래에 속하는데, 문헌 상으로 확정할 만한 기록이 남아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고려 가요와 형식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이 일치하므로, 고려 가요로 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정석가는 학교 내신에서는 대개는 이랑 함께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서경별곡의 2연과 정석가의 6연이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고려가요가 구전되다가 기록되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당시 백성들이 즐겨 부르던 구절이 구전되는 과정에서 겹쳐져서 그런 걸로 보입니다. 이번에 EBS 수능 완성에 정석가가 실려 있습니다. 수능 대비와 내신 대비를 위해 꼼꼼한 정리가 필요한 작품입니다. 우선 정석가에 대한 개략적인 해제를 해봅시다. 갈래..

카테고리 없음 2023.09.24

[고전 소설 해설] 김원전 해석 및 문제 모음 [EBS 수능 완성 수능특강 문학]

김원전은 이번에 수능 완성에 실린 고전 소설로, 지하 세계의 아귀를 퇴치하고 공주를 구하는 김원의 이야기를 담은 영웅 소설입니다. 김원전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김원이 비범한 능력을 통해 펼치는 영웅적인 활약상을 살펴 봐야 합니다. 그리고 김원적이 배경으로 삼는 공간의 의미와, 김원의 비범한 능력이 보이는 전기적 요소 등을 잘 파악해야 할 것입니다. 김원전 수능 완성 본문 해설 김원전은 앞서 말씀드린 대로 이번에 수능 완성에 실려 있습니다. 수능 완성에 실린 부분을 중심으로 김원전에 대해 알아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김원전 해제 갈래: 고전 소설 (전기 소설, 영웅 소설, 괴담 소설, 적강 소설, 전기 소설) 성격: 전기적(傳奇的), 영웅적 제재: 김원의 영웅적 활약상 주제: 아귀를 퇴치..

[고전시가 해설] 이이-고산구곡가 해석 및 문제 모음[EBS 수능완성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이이의 고산구곡가는 이이가 해주에서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을 때, 주자가 지은 를 모방해서 지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주자의 무이구곡가의 모방에 그친 것이 아니라, 은거 생활의 흥겨움과 이이의 높은 정신적인 경지를 객관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그리고 자연에서 느낀 정서를 별다른 기교 없이 담담하면서도 은근하게 표현하고 있는 작품입니다. 2024 수능 완성 수록 2024 수능 완성에 작품이 실려 있고, 이황의 도산십이곡과 비교되면서 자주 언급되는 작품입니다. 반드시 해석을 해보고, 다양한 문제를 풀어 보는 것이 수능 대비는 물론 내신 대비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2024 수능 완성에는 고산십이곡에대한 해설과 더불어 작품이 실려 있습니다. 해당 해설을 바탕으로 고산십이곡에 대한 ..

[철학] 칸트와 윤리학- 서용순<청소년을 위한 서양 철학사>-[2011년 3월 고1 모고]

2011년 3월 고1 모고, 칸트와 윤리학, 서용순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대개 사람들은 동정심을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감정이라 생각하고, 동정심이 많은 사람을 도덕적으로 선한 사람이라고 여긴다. 맹자는 남의 어려운 처지를 동정하여 불쌍하게 여기는 마음을 측은지심(惻隱之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를 인간의 본성으로 ㉠간주(看做)하여 도덕적 가치를 판단하는 ㉡근거(根據)로 삼았다. 데이비드 흄도 인간은 본성적으로 동정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도덕성의 근거가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칸트는 이러한 일반적인 ㉢견해(見解)와는 다른 입장을 보였다. 그에 따르면 도덕적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은 동정심이 아닌 이성에 바탕을 둔 ‘의무 동기’이어야 한다. 의무 동기에 따라 행동한다는 것은 도덕적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