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04

[고등 문학] 찬기파랑가, 처용가 문제 모음

[고등 문학] 찬기파랑가, 처용가 문제 모음 *한글 파일은 맨 아래에 있습니다.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干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皃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磧惡希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肹逐內良齊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밝힌 ㉠달이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모래 가른 물가에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수풀이여 일오(逸烏)내 ㉢자갈 벌에서 낭(郎)이 지니시던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아아, ㉣잣나무 가지가 높아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

[고등 영어 문제 모음] 가정법 연습문제

[고등 영어 문제 모음] 가정법 연습문제*한글 파일은 맨 아래쪽에 있답니다. 가정법 연습문제 1. 현재의 사실을 반대로 가정해서나타내는 것(가정법 과거)If 주어 과거동사, 주어 (would, should, could, might) 동사원형 ※주절의 be동사는 were를 쓴다.1. If I had some money, I would take a taxi.2. If I _______ you, I would date her. - 3. I _______ watch TV if I had some time. - 4. If I _______ the lottery, I ________ buy you a car. 2. 과거의 사실을 반대로 가정하는 것 (가정법과거완료)If 주어 had p.p ~ , 주어 would(s..

논술에서 많이 틀리는 맞춤법 및 띄어쓰기, 표현

논술에서 많이 틀리는 맞춤법 및 띄어쓰기, 표현많이 틀리는 맞춤법1. ‘~이’와 ‘~히’ - 부사의 끝음절이 ‘이’로만 나는 경우 ① 명사나 부사 뒤 ② ‘ㅅ’ 받침이나 불규칙 용언의 어간 뒤 ③ ‘~하다’가 붙지 않는 용언 어간 뒤 예) 깨끗이 버젓이 틈틈이 일일이 번번이 가까이 곰곰이 누누이 - 부사의 끝음절에 ‘~히’가 붙는 경우 ① ‘~하다’가 붙은 어근 뒤 ② 어원적으로 ‘~하다’가 붙지는 않으나 본뜻에서 멀어져서 ‘히’로 발음이 굳어진 경우 예) 꾸준히 성급히 변변히 빈번히 솔직히 2. 든지 던지 - 지난 일을 나타내는 어미는 ‘~더라, 던지로’ 적는다 예) 그렇게 좋던가? 말을 아주 잘하던데! - 물건이나 일의 내용을 가리지 아니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의 어미는 ~든지로 적는다. 예) 배든지..

입시자료 모음 2015.12.17

2017학년도 수능-EBS 연계교재 목록 사전 발표

이 정도면 그냥 암기식 시험이겠네요. ㅎㅎ 보도자료홍보담당관실 ☏ 044-203-6588[자료문의] ☎ 044-203-6367 대입제도과장 김두용, 사무관 임소희, 연구사 송교준2017학년도 수능-EBS 연계교재 목록 사전 발표- 연계율 및 연계방식 유지, 교재구매 및 학습 부담 최소화 -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황우여)는 ’16년 11월 17일(목)에 시행되는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EBS 연계교재 목록을 12월 16일(수) 확정․발표하였다. ○ 2017학년도 수능-EBS 연계율은 70%이며, 한글 해석본 암기를 통해 영어 시험을 준비하는 문제를 개선한 2016학년도 수능의 연계방식도 유지된다.□ 교육부는 수능 연계교재 구매와 관련한 학생․학부모의 혼란을 없애고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입시자료 모음 2015.12.17

[고등 국어-한철우]6-1 우리말의 음운체계 형성평가

[고등 국어-한철우]6-1 우리말의 음운체계 형성평가한글파일은 맨 아래쪽에 있답니다. [1~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우리말은 ㉠소리가 하나만 바뀌어도 그 뜻이 달라진다. 가령 ‘달’이라는 단어가 ‘말’이라는 단어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소리를 교체해야 할까? ‘달’의 첫소리에 쓰인 ‘ㄷ’을 ‘ㅁ’으로 바꾸면 된다. 마찬가지로 ‘달’을 ‘돌’로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달’의 가운뎃소리인 ‘ㅏ’를 ‘ㅗ’로 바꾸면 된다. 위에 제시된 각각의 말들의 의미는 말소리에 쓰인 자음이나 모음이 바뀜으로써 그 뜻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처럼 말의 뜻을 구별하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를 ㉡음운이라고 한다. 1. 이 글의 성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① 용어의 어원을 탐구하기 위한 ..

[고등학교 물리] 지필평가 대비 자료 3학년 물리

[고등학교 물리] 지필평가 대비 자료 3학년 물리한글 파일은 맨 아래쪽에 있어요^^ 2015년 2학기 2차 지필평가 대비 자료 3학년 물리 그림 (가)는 직선 도로의 기준선 a에서 출발한 자동차가 기준선 b를 통과하여 기준선 c에 도달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나)는 이 자동차의 속도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자동차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다가 b에 도달한 순간부터 일정한 속력 로 등속도 운동을 한다.

[고등 국어] 춘향전 문제 모음

[고등 국어] 춘향전 문제 모음 한글 파일은 제일 아래에 있어요^^*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가) 저 사령 거동 보소. “어느 양반이관대, 우리 안전(案前)님 걸인 혼금(閽禁)하니 그런 말은 내도 마오.” 등 밀쳐 내니 ㉠어찌 아니 명관(名官)인가. 운봉이 그 거동을 보고 본관에게 청하는 말이 “저 걸인의 의관은 남루하나 양반의 후예인 듯하니, 말석에 앉히고 술잔이나 먹여 보냄이 어떠하뇨?” 본관 하는 말이 “운봉 소견대로 하오마는…….” 하니 ㉮‘마는’ 소리 훗입맛이 사납것다.(나) 어사또 하는 말이 “걸인도 어려서 추구권(抽句卷)이나 읽었더니, 좋은 잔치 당하여서 주효를 포식하..

[현대 운문]백석-'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빈칸추론과 문제

[현대 운문]백석-'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빈칸추론과 문제 남신의주(南新義州) 유동(柳洞) 박시봉방(朴時逢方) - 백 석 - 어느 사이에 나는 아내도 없고, 또, 아내와 같이 살던 집도 없어지고, 그리고 살뜰한 부모며 동생들과도 멀리 떨어져서, 그 어느 바람 세인 쓸쓸한 거리 끝에 헤매이었다. 바로 날도 저물어서, 바람은 더욱 세게 불고, 추위는 점점 더해 오는데, 나는 어느 목수네 집 헌 삿을 깐, 한 방에 들어서 쥔을 붙이었다. 이리하여 나는 이 습내나는 춥고, 누긋한 방에서, 낮이나 밤이나 나는 나 혼자도 너무 많은 것같이 생각하며, 딜웅배기에 북덜불이라도 담겨 오면, 이것을 안고 손을 쬐며 재 우에 뜻없이 글자를 쓰기도 하며, 또 문 밖에 나가지두 않구 자리에 누워서, 머리에 손깍지 베개를 하고..

[고전 운문-가사]규원가 해설

[고전 운문-가사]규원가 해설규원가(閨怨歌) - 허난설헌▶기(起) - 늙고 초라한 신세를 한탄함 엇그제 젊었더니 하마 어이 다 늙었다. 소년 행락(少年幸樂) 생각하니 일러도 속절업다. 늙어야 설운 말씀 하자니 목이 멘다. 부생 모육(公生母育) 신고(辛苦)하여 이내 몸 길러낼 제, 공후 배필(公侯配匹)은 못 바라도 군자 호구(君子好送) 원(願)하더니, 삼생(三生)의 원업 (怨業)이요 월하(月下)의 연분(緣分)으로, 장안 유협(長安遊灰) 경박자(輕薄子)를 꿈같이 만나 이셔, 당시(當時)의 용심(用心)하기 살얼음 디디는 듯, 삼오 이팔(三五二八) 겨오 지나 천연 여질(天然麗質) 절로 이니, 이 얼골 이 태도(態度)로 백년 기약(百年期約)하얏더니, 연광(年光)이 훌훌하고 조물(造物)이 다시(多猜)하야, 봄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