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05

[2017 수능특강 국어 문학]EBS 변형 문제 모음

[2017 수능특강 국어 문학]EBS 변형 문제 모음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꽃이 지기로서니 바람을 탓하랴. 주렴 밖에 성긴 별이하나 둘 스러지고 귀촉도 울음 뒤에머언 산이 닥아서다. 촛불을 꺼야 하리꽃이 지는데 꽃지는 그림자뜰에 어리어 하이얀 미닫이가우련 붉어라. ㉠묻혀서 사는 이의고운 마음을 아는 이 있을까저허하노니 꽃이 지는 아침은울고 싶어라.- 조지훈, 1950년대 우리 문학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① 전후 현실을 비판적으로 직시하였다.② 전통적인 한(限)의 세계를 형상화하였다.③ 전쟁의 상처와 인간 실존 문제를 다루었다.④ 분단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졌다.⑤ 전후 현실 속에서 인간성의 회복에 주목하였다. ④ 분단의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진 것은 1960~..

[2017 EBS 수능특강 국어 변형문제]고전시가

[2017 EBS 수능특강 국어 변형문제]고전시가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가] 公無度河(공무도하) 임이여, 그 물을 건너지 마오. [1] 임을 향한 간절한 부탁 公竟度河(공경도하) 임은 그예 그 물을 건너시네. [2] 임의 예정된 행보 墮河而死(타하이사) 물에 빠져 죽은 임 [3] 결과적 상황 當奈公河(당내공하) 저 임을 어이할꼬.- 백수광부의 처, [4] 화자의 심정 토로[나] 이 노래의 배경 설화는 다음과 같다.“고조선의 뱃사공 곽리자고가 아침 일찍 배를 손질하고 있었다. 그 때 머리가 허옇게 센 미치광이(백수광부) 한 사람이 머리를 풀어헤친 채 술병을 쥐고는 어지러이 흐르는 강물을 건너고 있었다. 그 뒤를 그의 아내가 따르며 말렸으나 그는 끝내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이에 그의 아..

[고등 수능 국어 대비] 2016 수능특강 문학 연계문제

[고등 수능 국어 대비] 2016 수능특강 문학 연계문제 현대시 1 - 농무(신경림) /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 [가] 징이 울린다 막이 내렸다.오동나무에 전등이 매어 달린 가설 무대구경꾼이 돌아가고 난 텅빈 운동장우리는 분이 얼룩진 얼굴로학교 앞 소줏집에 몰려 술을 마신다. 답답하고 고달프게 사는 것이 원통하다. 꽹과리를 앞장세워 장거리로 나서면따라붙어 악을 쓰는 건 쪼무래기들뿐처녀애들은 기름집 담벽에 붙어 서서 철없이 킬킬대는구나. 보름달은 밝아 어떤 녀석은꺽정이처럼 울부짖고 또 어떤 녀석은서림이처럼 해해대지만 이까짓 산구석에 처박혀 발버둥친들 무엇하랴.㉠비료값도 안 나오는 농사 따위야아예 여편네에게나 맡겨 두고 ㉡쇠전을 거쳐 도수장 앞에 와 돌 때우리는 점점 신명이 난다.한 다리를 들고 날라..

[2017 수능 특강 고전 시가 총정리1](고대가요, 향가, 속요)

[2017 수능 특강 고전 시가 총정리1](고대가요, 향가, 속요) 공무도하가公無渡河 임이여, 물을 건너지 마오 : 이별에 대한 거부 의지. 公竟渡河 임은 그예 물을 건너시네 : 이별墮河而死 물에 휩쓸려 돌아가시니 : 죽음當奈公何 가신 임을 어이할꼬 : 이별한 슬픈 심정. 公無渡河(당신 공, 없을 무, 건널 도, 강 하)公竟渡河(끝내 경)墮河而死(떨어질 타, 말이을 이, 죽을 사)當奈公何 (지금, 마땅할 당, 어찌 내, 어찌 하) * 슬픔, 체념, 안타까움, 원형적 심상을 지닌 소재로 민족의 보편적 정서가 드러남* 제1구-사랑 : 無와 같은 뜻- 勿 제2구-이별 : 河(강물)의 동양적 상징 의미- 이별, 죽음, 경계, 장애, (세월, 역사) 제3구-죽음 : 제4구-회한 : 奈- 何 ‘어찌하리’의 뜻. ‘..

[2017 수능 특강 고전 시가 총정리2] (연시조, 논매기 노래, 유산가, 사설시조)

[2017 수능 특강 고전 시가 총정리2] (연시조, 논매기 노래, 유산가, 사설시조) 漁父歌(어부가) TIP & MEMO ● 핵심 정리◁작자 : 이현보(李賢輔 1467~1555)◁출전 : ◁종류 : 5수의 연시조 ◁제재 : 어부(漁父)의 생활◁주제 : 강호에 묻혀 사는 어부(漁父)의 한정(閑情)◁내용 : 멀리 속세를 떠나 유유자적하며 자연에 흥취를 즐기는 어부의 생활 ● 해설 漁父歌(어부가)는 일찍이 고려 때부터 12장으로 된 장가와 10 장으로 된 단가로 전해져 왔는데, 이현보가 이를 개작하여 9장의 장가, 5장의 단가로 만들었다. 농암의 어부가는 한자어가 많고 부르기에 적합하지 않은 결점을 지녔으며, 정경의 묘사도 관념적이다. 후에 고산 윤선도의 에 영향을 준다. 일엽편주(一葉잎片조각舟배) 한 척의..

[고등 국어 작품별 정리]허난설헌의 규원가(閨怨歌) 해석 및 정리

[고등 국어 작품별 정리]허난설헌의 규원가(閨怨歌) 해석 및 정리 허난설헌의 규원가(閨怨歌) 해석 및 정리​(2001년도 수능/2003년도 5월/2007년도 10월 출제)​ 엇그제 졈엇더니 하마 어이 다 늘거니.➩엊그제 젊었더니 벌써 어이 늙었는가 소년 행락 생각하니 닐너도 쇽졀업다.➩어린시절 즐겁던 일을 생각하니 말해도 소용없다//과거 회상 늙거야 셜운 말슴 하쟈 하니 목이 멘다.➩ 늙어서 서러운 말을 하자하니 목이 멘다//늙음에 한탄 부생모육 신고하야 이 내 몸 길너낼 제➩ 부모님이 낳고 길러 고생하여 이 내 몸 길러 내실 때 공후 배필 못 바라도 군자호구 원하더니➩높은벼슬 배필은 못 바라도 군자의 좋은 짝 원하였더니//.공후 배필, 군자 호구 와 대조적시어는 장안 유협 경박자​ 삼생의 원업이오 월하..

[고등 국어 작품별 정리]신경숙-엄마를 부탁해

[고등 국어 작품별 정리]신경숙-엄마를 부탁해 엄마를 부탁해 - 신경숙 ●소설의 서술자는 독자에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작가의 허구적 대리인이다. 서술자로 어떤 사람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이야기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학생들은 이 작품을 통해 낯선 서술자 ‘너’를 만나게 된다. ● 제재 정보 “엄마를 잃어버린 지 일주일째다.”라고 시작되는 이 작품은 지하철역에서 아버지의 손을 놓치고 실종된 어머니의 흔적을 찾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가족을 위해 이름마저 잃어버린, 곁에 있어서 소중함을 잊은 엄마를 자식, 남편, 엄마의 시선으로 기억을 더듬는다. 각 장별 시점의 전환은 각자가 간직한 어머니와의 추억과 그 안에 무심히 초라해져 간 엄마의 인생을 그리고 있어 각기 다른 감동을 주고 있다. 작가는 “오..

[고등 국어 작품별]통곡할 만한 자리 - 박지원

[고등 국어 작품별]통곡할 만한 자리 - 박지원 통곡할 만한 자리 - 박지원 **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초팔일 갑신(甲申). 맑다. 정사 박명원(朴明源)과 같은 가마를 타고 삼류화(三流花)를 건너 냉정(冷井)에서 아침밥을 먹었다. 십여 리 남짓 가서 한 줄기 산기슭을 돌아 나서니 태복(泰卜)이 국궁(鞠躬)을 하고 말 앞으로 달려나와 땅에 머리를 조아리고 큰 소리로, ㉠“백탑(白塔)이 현신함을 아뢰오.” 한다. 태복이란 자는 정 진사(鄭進士)의 말을 맡은 하인이다. 산기슭이 아직도 가리어 백탑은 보이지 않았다 말을 채찍질하여 수십 보를 채 못 가서 겨우 산기슭을 벗어나자 눈앞이 아찔해지며 눈에 헛것이 오르락내리락하여 현란했다. ㉡나는 오늘에서야 비로소 사람이란 본디 어디고 붙어 의지하는 데가 없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