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405

'속미인곡'과 '사미인곡'의 공통점과 차이점

'속미인곡'과 '사미인곡'의 공통점과 차이점 속미인곡사미인곡공통점1. 화자가 모두 천상의 백옥경(궁궐)에서 하계(유배지)에 내려온 여성임2. 임에 대해서 화자가 뼈에 사무치는 그리움을 가지고 있음3. 죽어서도 임을 따르겠다는 확고한 의지가 있음(다른 자연물로 변신 : 서정주의 '춘향유문'도 이와 유사한 표현)차이점내용전개화자와 보조적 인물의 대화체화자의 독백체화자의 일상 시간에 따른 전개로 임의 일상 생활을 염려하는 말 속에서 사계절이 잠깐 언급됨임에 대한 그리움을 사계절의 변화에 따라 읊음표현우리말의 묘미를 잘 살린 소박하고 진실한 표현으로 서포 김만중이 송강의 작품중에서 가장 높이 평가한 작품한자숙어가 간혹 섞여 있으며 과장적 표현이 많음화자의 태도임의 소식을 알아 보기 위해서 이리저리 알아 보러 다..

[고1 국어 내신 대비] 창비 6단원 모의평가 2~4회 문제 및 정답

[고1 국어 내신 대비] 창비 6단원 모의평가 2~4회 문제 및 정답 학년 반이름 [B] 【1-7】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공원 뒤쪽의 성당에서는 끊임없이 종을 치고 있었다. 고양이를 바다에 던질 때부터 아니 그 이전부터 우리 뒤를 따라오며 머리칼을 당기던 소리였다. 일정한 파문과 간격으로 한없이 계속되는, 극도로 절제되고 온갖 욕망과 성질을 단 하나의 동그라미로 단순화시킨 그 소리에는 한밤중 꿈속에서 깨어나 문득 듣게 되는 여름밤의 먼 우렛소리, 혹은 깊은 밤 고달프게 달려가는 기차 바퀴 소리에서와 같은, 이해할 수 없는 두려움과 비밀스러움이 있었다.수녀가 죽었나 봐.누군가 말했다. 끊임없이 성당의 종이 울릴 때는 수녀가 고요히 죽어 가는 것이라는 것을 우리는 모두 알고 있었다.철로 너..

[고1 국어 내신 대비] 창비 6단원 모의평가 1회 문제 및 정답

[고1 국어 내신 대비] 창비 6단원 모의평가 1회 문제 및 정답 학년 반이름 【1-4】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시를 남북으로 나누며 달리는 철길은 항만의 끝에 이르러서야 잘려졌다. 석탄을 싣고 온 화차는 자칫 바다에 빠뜨릴 듯한 머리를 위태롭게 사리며 깜짝 놀라 멎고 그 서슬에 밑구멍으로 주르르 석탄가루를 흘려보냈다.집에 가 봐야 노루 꼬리만큼 짧다는 겨울 해에 점심이 기다리고 있는 것도 아니어서 우리들은 학교 수업이 끝나는 대로 책가방만 던져둔 채 떼를 지어 선창을 지나 항만의 북쪽 끝에 있는 제분 공장에 갔다. 제분 공장 볕 잘 드는 마당 가득 깔린 멍석에는 늘 덜 건조된 밀이 널려 있었다. 우리는 수위가 잠깐 자리를 비운 틈을 타서 마당에 들어가 멍석의 귀퉁이를 밟으며 한 움큼씩 집어 밀..

중세국어-훈민정음 50문제

중세국어-훈민정음 50문제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가) 솅世宗엉御졩製훈訓민民正音나․랏:말․미 中듕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 ․ ․이런 ⓑ젼․․ 로 ⓒ어․린 百․姓․셩․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 ․노․미 ⓓ하․니․라 ․내 ․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字․․ ․노․니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뼌安․킈 ․고․져  ․미니․라 (가)의 글은 ‘훈민정음의 서문’이다. 이 글에 언급되지 않은 내용은?① 새로 창제된 문자는 28자이다.② 새 문자를 만들어서 모든 제도를 정비하였다.③ 모든 사람들이 쉽게 배울 수 있게 만..

[고1 국어 내신 대비]천재김 1학기 기말고사 파이널 모의고사

[고1 국어 내신 대비]천재김 1학기 기말고사 파이널 모의고사 ※아래 문제들을 풀고 답안지에 풀이와 정답을 깔끔하게 작성하세요. ※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일본에서 유학하고 있는 ‘나’는 아내가 위독하다는 전보를 받고 귀국한다. 하지만 도중에 술집 여급인 정자(靜子)도 만나고, 고베[神戶]에 들러 을라(乙羅)도 만나는 등 늑장을 부린다. 귀국하는 배 안에서 일본 형사에게 시달리고, 우리 농민들을 유인해 노동자로 팔아먹는 현실을 보고는 민족적 울분을 느낀다. 집에 와 보니, 현대 의학으로 고칠 수 있는 병을 방치해 아내는 죽어 가고 있다. 죽은 아내는 말이 부부이지 ‘나’와는 불과 몇 달밖에 살지 않았다. 나는 아내의 장례를 치른 뒤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려 하나 뜻대로 되지 않는다. 그 사이 ..

한자성어 주제별 완벽 정리

한자성어 주제별 완벽 정리 [A보충자료_주제별 한자성어] 학번 : 이름: 효(孝) -事親以孝(사친이효) 어버이를 섬김에 효도로써 함. 세속오계의 하나-父子有親(부자유친) 아버지와 아들의 道(도)는 친애에 있음. 五倫(오륜) 의 하나 -父爲子綱(부위자강)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 지킬 떳떳한 도리. 삼강의 하나.-昏定晨省(혼정신성) 조석으로 부모의 안부를 물어 살핌-反哺之孝(반포지효) 반포(까마귀 새끼가 자란 뒤에 늙은 어미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주는 것)하는 효도. 전하여, 자식이 자라서 부모를 정성으로 봉양하는 것을 말함.-反哺報恩(반포보은) 자식이 부모가 길러 준 은혜를 갚음-風樹之嘆(풍수지탄) 효도하려 할 때, 이미 부모는 돌아가셔서, 효행을 다하지 못하는 슬픔-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 밖에 나갈 때..

[수능 국어 대비]문법특강-고등국어기초에서 수능까지

[수능 국어 대비]문법특강-고등국어기초에서 수능까지 단원별 수록 내용 및 학습 목표 단원별 수록 내용학습 목표01 언어의 본질(1) 언어와 인간➊ 언어와 사고 ➋ 언어와 사회➌ 언어와 문화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회, 언어와 문화의 관계를 탐구하고 이해한다.(2) 언어의 특성➊ 기호성 ➋ 사회성 ➌ 역사성➍ 규칙성 ➎ 창조성언어가 갖는 특성인 기호성, 규칙성, 창조성, 사회성, 역사성을 탐구하고 이해한다. 02 음운(1) 음운의 개념과 체계➊ 음운의 개념 ➋ 자음 체계음성, 음운의 세계를 탐구하고 올바르게 발음 생활을 한다.➌ 모음 체계 ➍ 비분절 음운(2) 음운 변동➊ 교체 음운의 변동을 탐구하고 올바르게 발음하며 표기하는 생활을 한다.➋ 탈락 ➌ 첨가 ➍ 축약03 단어(1) 품사품사의 분류품사 분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