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훈민정음 50문제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솅世宗엉御졩製훈訓민民正音
나․랏:말․미 中듕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 ․ ․이런 ⓑ젼․․ 로 ⓒ어․린 百․姓․셩․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내 ․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字․․ ․노․니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뼌安․킈 ․고․져 ․미니․라
(가)의 글은 ‘훈민정음의 서문’이다. 이 글에 언급되지 않은 내용은?
① 새로 창제된 문자는 28자이다.
② 새 문자를 만들어서 모든 제도를 정비하였다.
③ 모든 사람들이 쉽게 배울 수 있게 만들어졌다.
④ 당시에는 문자생활을 못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⑤ 중국과 우리말은 많은 차이가 있었다.
다음 음운 중 훈민정음 28자에 속하지 않는 음운은?
① 여린 히읗 - ㆆ ② 반치음 - ㅿ
③ 옛이응 - ㆁ ④ 순경음 비읍 - ㅸ
⑤ 아래아 - ㆍ
ⓐ~ⓔ의 뜻을 현대어로 풀이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 디 - 통하지 ② ⓑ 젼 - 까닭, 이유
③ ⓒ 어린 - 어리석은 ④ ⓓ 하니라 - 많으니라.
⑤ ⓔ 어엿비 - 예쁘게
단어의 뜻을 현대어로 풀이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디 - 통하지 ② 젼 - 까닭
③ 어린 - 어리다 ④ 하니라 - 많다
⑤ 어엿비 - 불쌍하다
‘스믈여듧’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28자는 모두 실질적인 음가를 가지고 있었다.
② 초성과 중성과 종성의 수를 각각 합하여 28자이다.
③ /ᄫ/은 28자에 속하지 않으면서 국어의 음운 구실을 하였다.
④ 자음과 모음의 기본자는 둘 다 발음 기관의 상형을 본뜬 것이다.
⑤ 초성의 기본자는 /ㄱ, ㄴ, ㅁ, ㅅ, ㆁ/ 이고 , 중성의 기본자는 /ㆍ, ㅡ, ㅣ/이다
기본자와 가획자의 관계가 바른 것은?
① ㅇ - ㆁ ② ㅅ - ㅿ ③ ㄴ - ㄷ
④ ㅂ - ㅃ ⑤ ㅁ - ㄹ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나․랏:말․미 中듕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 ․ ․이런 젼․․ 로 ㉠어․린 百․姓․셩․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내 ․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字․․ ․노․니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뼌安․킈 ․고․져 ․미니․라
(가)에 나타나지 않은 것은?
① 자주 정신 ② 애민 정신
③ 실용 정신 ④ 백성의 일상 언어생활
⑤ 한글의 창제 방법
(가)에서 종성표기법을 알 수 있는 단어를 찾아 3음절로 쓰시오.
㉠과 의미변화의 양상이 가장 유사한 단어는?
① 말 ② 디 ③ 놈
④ 어엿비 ⑤ 수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나․랏:말․미 ㉠中듕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 ․ ․이런 젼․․ 로 어․린 百․姓․셩․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내 ․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字․․ ․노․니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뼌安․킈 ․고․져 ․미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