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부 국어 자료/수능 국어 대비

[고전운문] 청산별곡 원문 및 해설

여기가로두스 2015. 12. 6. 22:35

청산별곡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쳥산)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다래랑 먹고, 靑山(쳥산)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제1연> 


살고 싶구나, 살고 싶구나. 청산에 살고 싶구나.

머루랑 다래를 먹고 청산에서 살고 싶구나.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2연>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 우는구나 새여.

너보다 근심이 많은 나도 자고 일어나 울고 있노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3연>


 날아가던 새를 본다. 날아가던 새를 번다. 물 아래 날아가던 새를 본다.

녹슨 연장을 가지고 물 아래로 날아가던 새를 본다.


  이링공 뎌링공 하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또 엇디 호리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4연>


이럭저럭 하여 낮은 지내왔지만

올 사람도 갈 사람도 없는 밤은 또 어찌할 것인가.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5연>


어디에다 던지던 돌인가? 누구를 맞히려던 돌인가?

미워할 사람도 사랑할 사람도 없이 돌에 맞아서 울고 있노라.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라래 살어리랏다.

나마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라래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6연>


살고싶구나 살고싶구나. 바다에 살고싶구나.

나문재랑 굴조개랑 먹고 바다에 살고싶구나.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사사미장대예 올아셔 奚琴(해금)을 혀거를 드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7연>


가다가 가다가 듣노라. 외딴 부엌으로 가다가 듣노라.

사슴이 장대에 올라가서 해금을 타는 것을 듣노라.


  가다니 배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곳 누로기 매와 잡사와니, 내 엇디 하리잇고.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제8연> 


 가더니 불룩한 독에 독한 술을 빚는구나.

조롱박꽃 같은 누룩 냄새가 매워 나를 붙잡으니 낸들 어찌하겠는가.


 ----------------------------

 작자 : 미상(未詳)

 연대 : 고려 때(확실한 연대 알 수 없음)

 갈래 : 고려 속요, 고려 가요, 장가(長歌), 평민 문학

 형식 : 전 8연의 분장체. 매 연 4구

 운율 : 3·3·2조. 3음보
 어조 : 시름과 근심에 젖은 애조 띤 목소리

 성격 : 현실 도피적. 애상적(해석에 따라서는 낙천적으로 보는 이도 있음)

 구성 : 기(1연) - 승(2,3,4,연) - 전(5,6,7연) - 결(8연)의 4단 구성. 혹은 산-바다의 대칭적(對稱的) 2단 구성/ 전8연(매 연은 4구로 구성되어 있고, 각 구는 3·3·2조로 3음보로 되어 있다.)

 특징 - 1)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사 이상향을 그리는 인간의 보편적 정서를 담고 잇어 오늘날 현대인에게도 감동을줌

               2) 비교법, 감정 이입 등의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주제를 형상화함

 주제 : 현실에의 체념, 생의 고독과 비애, 삶의 고뇌와 비애. 실연의 애상(哀傷). 삶의 터전을 잃은 유랑인의 슬픔. 임을 잃은 여인의 처절한 삶과 임을 향한 그리움

 의의 : 고려 속요 중 '서경별곡'과 함께 비유성과 창작성이 뛰어나며, 문학성 또한 빼어나다. 고려인들의 삶의 애환을 반영한 작품으로서, 고려인의 정서가 잘 나타나 있고, 음악적 효과가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사상적인 면에서는 극단적인 현실 도피 내지는 현실 부정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표현 : 'ㄹ' 음의 반복과 'ㅇ' 음의 어울림에서 빚어내는 음악성이 대비되었고, 반복법과 상징성이 두드러진다.

 배경 : 고려 때의 불안한 사회적 반영으로 볼 수가 있는데, 고려의 척신(戚臣)의 전횡(專橫), 무신(武臣)의 횡포, 몽고군의 침입 등 내우외환(內憂外患)이 계속되어 양심적인 지성인들은 언제나 현실에서 안심 입명(安心立命)할 수가 없었다. 

 출전 : 악장가사(樂章歌詞),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악학편고


'청산별곡'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  
 

구 성

중심 소재

소재의 이미지

주 제

1

청산

비세속적인 자연

속세를 떠나 청산에 숨어 살겠다.

2
3
4

승 



함께 비탄하는 벗
자기의 분신 
절망적인 고독

새와 함께 비탄하는 고독.
속세에의 미련에 번민함. 
절망적인 고독에 괴로워함.

5
6
7


바다
사슴

운명
새 생활 환경 
기적의 매개물

고독과 번뇌를 운명으로 여김.
새로운 세계를 찾아감.
절박한 심정임.

8

강술

구원의 생명수

술을 통해 삶의 구원의 길을 찾음.

 각 연의 소재, 이미지, 내용 
 

소재

이미지

내용

1

청산

사람의 현장과의 대칭으로서의 자연

자연에서 살 수밖에 없음.

2

함께 비탄하는 유일한 벗

새와 함께 비탄함

3

자신의 분신, 속세에의 미련

속세에의 미련으로 번민함

4

절망적인 고독

고독으로 인하여 괴로워함

5

운명

고독을 운명으로 생각함.

6

바다

삶의 현장의 또 다른 대칭으로서의 자연

새로운 환경을 찾아 감

7

사슴

비애(悲哀)의 감정을 이완시킴

기적을 바라는 희망

8

강술

비애의 초극을 가능케 하는 매개체

술에서 구원을 찾음

(출처 : 권영민 저 문학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