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부 국어 자료/EBS 변형

[수완 수특 국어 언매 문법]동사의 분류- 자동사와 타동사, 능동사와 피동사, 주동사와 사동사

여기가로두스 2024. 10. 21. 18:57

동사는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형태와 의미를 가지고 사용됩니다. 이러한 동사는 목적어의 필요 여부, 행동의 자발성 여부, 그리고 주체의 직접 행동 여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됩니다. 이 글에서는 자동사와 타동사, 능동사와 피동사, 주동사와 사동사의 분류를 중심으로 동사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1. 자동사와 타동사의 분류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분은 동사가 문장에서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자동사는 움직임이나 상태 변화가 주어에만 미치는 동사로,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눈이 녹다”에서 ‘녹다’는 주어인 ‘눈’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며, 이 동사는 목적어 없이도 완전한 의미를 가집니다.

반면, 타동사는 주어가 목적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사로, 반드시 목적어를 필요로 합니다. 예를 들어, “물을 끓이다”에서 ‘끓이다’는 주어가 목적어인 ‘물’에 작용을 가하므로, 이 동사는 목적어를 포함해야만 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흥미롭게도, 하나의 동사가 문맥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쓰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울음소리가 그치다”에서 ‘그치다’는 목적어 없이 사용되므로 자동사입니다. 그러나 “아이가 울음을 그치다”에서는 목적어 ‘울음’을 포함하여 타동사로 쓰입니다. 이와 같이 동사는 상황에 따라 목적어의 필요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능동사와 피동사의 구분


동사는 또한 자발성 여부에 따라 능동사와 피동사로 구분됩니다. 능동사는 주어가 자발적으로 움직임을 하거나 행동을 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예를 들어, “경찰이 도둑을 잡다”에서 ‘잡다’는 경찰이 자발적으로 도둑을 붙잡는 동작을 표현하므로 능동사입니다.

반면, 피동사는 주어가 외부의 힘에 의해 움직임을 당하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도둑이 경찰에게 잡히다”에서 ‘잡히다’는 주어인 도둑이 경찰에 의해 잡힘을 당한 상태를 나타내므로 피동사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피동사가 자동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잡히다’는 목적어가 필요 없이 주어의 상태를 설명하는 자동사입니다.

피동사는 능동사에 피동 접미사가 결합되어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잡다’에 피동 접미사 ‘-히-’를 결합하여 ‘잡히다’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피동 접미사에는 ‘-히-’, ‘-리-’, ‘-기-’, ‘-이-’ 등이 있습니다.


3. 주동사와 사동사의 구분


동사는 또한 주체의 직접 행동 여부에 따라 주동사와 사동사로 구분됩니다. 주동사는 주체가 직접 행동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밥을 먹다”에서 ‘먹다’는 주체가 직접 밥을 먹는 동작을 나타내므로 주동사입니다.

반면, 사동사는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동사입니다. 예를 들어, “엄마가 아이에게 밥을 먹이다”에서 ‘먹이다’는 엄마가 아이에게 밥을 먹도록 하는 행위를 의미하므로 사동사입니다. 이처럼 주동사와 사동사의 구분은 주체의 직접 행동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사동사는 주동사에 사동 접미사가 결합되어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먹다’에 사동 접미사 ‘-이-’를 결합하여 ‘먹이다’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사동 접미사에는 ‘-이-’, ‘-히-’, ‘-리-’, ‘-우-’ 등이 있습니다. 또한 사동사는 대부분 타동사로 기능하며,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피동사와 사동사 구별


다의어나 동음이의어의 경우, 피동사와 사동사의 형태가 같을 수 있어 혼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감기다’는 상황에 따라 사동사로도, 피동사로도 사용됩니다. “머리를 감기다”에서 ‘감기다’는 ‘감다’의 사동사로, 머리를 씻기다의 의미를 가집니다. 그러나 “줄이 잘 감기다”에서 ‘감기다’는 ‘감다’의 피동사로, 줄이 말리거나 둘러지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동사의 분류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경우, 문맥을 고려하여 의미와 기능을 판단해야 합니다.

 

출제 포인트에 대한 해설


1. 동사의 목적어 필요 여부에 따른 분류
동사는 목적어의 필요 여부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나뉩니다. 자동사는 주어에만 작용하는 동사로,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녹다’는 주어가 자발적으로 녹는 상태를 나타내며,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반면 타동사는 주어가 목적어에 작용하는 동사로, ‘녹이다’처럼 목적어가 필요합니다.

2.자동사와 타동사의 의미 차이와 활용 예시
자동사는 주어의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로, 문장의 구조가 단순해지지만, 타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므로 문장의 구조가 복잡해집니다. 이를 통해 자동사와 타동사의 의미를 구분하고, 예문을 통해 구체적인 활용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동사의 자발성 여부에 따른 능동사와 피동사의 구분
능동사는 주어가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동사이며, 피동사는 주어가 외부의 힘에 의해 행동을 당하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경찰이 도둑을 잡다’는 경찰의 자발적인 행동을 나타내므로 능동사이고, ‘도둑이 잡히다’는 외부 힘에 의해 도둑이 잡힌 상태를 나타내므로 피동사입니다.

4. 능동사와 피동사 간의 상호 연관성
능동사와 피동사는 의미적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피동사는 능동사에 피동 접미사를 붙여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피동사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능동사의 의미를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잡다’와 ‘잡히다’의 관계를 이해하면 피동사의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주동사와 사동사의 정의와 구분
주동사는 주체가 직접 행동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반면, 사동사는 다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게 만드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먹다’는 주동사이고, ‘먹이다’는 사동사입니다. 이처럼 주동사와 사동사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피동사와 사동사의 접미사 활용
피동사와 사동사는 피동 접미사와 사동 접미사를 통해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잡다’에 피동 접미사 ‘-히-’가 붙어 ‘잡히다’가 되고, ‘먹다’에 사동 접미사 ‘-이-’가 붙어 ‘먹이다’가 됩니다. 피동사와 사동사의 형태 변화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문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7. 다의어 및 동음이의어의 피동사와 사동사 구별
동일한 형태의 동사가 여러 의미를 가질 때, 그 동사가 피동사로 쓰이는지, 사동사로 쓰이는지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감기다’는 상황에 따라 ‘머리를 감기다’에서 사동사로, ‘줄이 감기다’에서 피동사로 쓰입니다.

8. 동일 동사의 자동사와 타동사로의 사용 예
동일한 동사가 상황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치다’는 ‘울음이 그치다’에서 자동사로, ‘아이가 울음을 그치다’에서 타동사로 쓰입니다. 이를 통해 동사의 다기능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9. 동사의 타동사화 및 자동사화 원리
한 동사가 자동사로 쓰일 때와 타동사로 쓰일 때의 의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사의 변화 원리를 파악하면, 새로운 동사도 쉽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10. 특정 문장에서 동사의 자동사, 타동사, 피동사, 사동사 여부 구별
문장 내에서 동사의 역할을 파악하고, 해당 동사가 자동사, 타동사, 피동사, 사동사 중 어느 것인지 구별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