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수능특강 국어]고전시가 '감군은(感君恩)'
●작자 미상의 악장, ‘감군은(感君恩)’
사해(四海) 바다 깊이는 닻줄로 재려니와
임의 덕택(德澤) 깊이는 어느 줄로 재리잇고
향복무강(享福無疆)하시어 만세를 누리소서
향복무강(享福無疆)하시어 만세를 누리소서
일간명월(一竿明月)이 역군은(亦君恩)이샷다 -1장-
태산(泰山)이 높다고 하나 하늘에 못 미치거니와
임의 높으신 은덕(恩德)은 하늘같이 높으시네
향복무강(享福無疆)하시어 만세를 누리소서
향복무강(享福無疆)하시어 만세를 누리소서
일간명월(一竿明月)이 역군은(亦君恩)이샷다 -2장-
일편단심(一片丹心)뿐임을 하늘이여 알아주소서
백골미분(白骨靡粉)인들 단심(丹心)이야 가시리잇가
향복무강(享福無疆)하시어 만세를 누리소서
향복무강(享福無疆)하시어 만세를 누리소서
일간명월(一竿明月)이 역군은(亦君恩)이샷다 -4장-
*향복무강(享福無疆) : 끝없이 복을 누림
*일간명월(一竿明月) : 한 가닥 낚싯대를 드리우고 밝은 달을 즐김
*백골미분(白骨靡粉) : 백골이 가루가 됨
<현대어역>
사해의 바다 깊이는 닻줄을 가지고 잴 수 있겠지만
임금님의 은혜는 어느 줄로 잴 수 있겠습니까?
끝없이 복 받으시어 오래 오래 사시옵소서.
끝없이 복 받으시어 오래 오래 사시옵소서.
달 밝은 밤 낚싯대 드리우는 것도 임금님 은혜이시로다. -1장-
태산이 높다고 하건마는 하늘에 이르지 못하는데
우리 임금님의 높으신 은혜와 덕은 하늘같이 높으시도다.
끝없이 복 받으시어 오래 오래 사시옵소서.
끝없이 복 받으시어 오래 오래 사시옵소서.
달 밝은 밤 낚싯대 드리우는 것도 임금님 은혜이시로다. -2장-
사해의 넓은 바다는 배와 노로 건널 수 있지마는
임금님의 넓으신 은덕은 이승에서 어찌 다 갚으리잇가?
끝없이 복 받으시어 오래 오래 사시옵소서.
끝없이 복 받으시어 오래 오래 사시옵소서.
달 밝은 밤 낚싯대 드리우는 것도 임금님 은혜이시로다. -3장-
일편단심뿐임을 하늘께서 알고 계시옵소서.
백골이 가루가 된들 단심이야 변하겠습니까?
끝없이 복 받으시어 오래 오래 사시옵소서.
끝없이 복 받으시어 오래 오래 사시옵소서.
달 밝은 밤 낚싯대 드리우는 것도 임금님 은혜이시로다. -4장-
●핵심정리
▶작자 및 연대 : 조선 초기 작자 미상의 작품임. (‘상진’으로 보기도 하는데, ‘상진’은 성종 때 태어나서 명종 때 죽은 사람으로, <감군은>은 조선왕조실록 세종조에 기록되어 있어서 서로 일치되지 않고 있다. 또한 정도전과 하륜 등으로 보기도 하는데 그것 역시 확실한 근거가 없는 상황이다.)
▶갈래 : 악장
▶성격 : 송축가
▶주제 : 임금의 성덕 예찬
▶표현 및 형식 : ① 1장 5행으로, 전 4장의 악장 문학 ②반복법 ③각 장마다 똑같은 내용의 후렴구가 붙어 있어 고려속요와 비슷한 형식을 갖추고 있음.
→ 제1장에서는 '사해의 깊이'에, 제2장에서는 '태산의 높이'에, 제3장에서는 '사해의 넓이'에 빗대어 칭송하고, 제4장에서는 '임금에 대한 일편단심의 충정'을 맹세하고 있다.
▶출전 : <악장가사>
●이해와 감상
이 노래는 임금님의 은총을 감축하는 충정이 소박한 비유로 표현되어 있으며, 태평스럽고 한가한 백성의 즐거운 모습이 역력히 느껴진다. 또한 임금의 높은 은덕을 높은 태산과 깊은 바다에 직접적으로 비유 표현함으로써, 연군에 대한 충성스런 마음과 은총에 대한 감사를 나타내고 있다. 또 매 장마다 반복법을 통해서 태평성대의 세월과 임금의 은혜에 대한 찬탄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각 장에서 반복되고 있는 구절 가운데 '享福無疆'과 '亦君恩'이라는 어휘는 임금의 장수를 축원하고 그 은혜에 감사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말로, 송축가로서의 이 작품의 성격을 분명히 해 주는 주제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역군은이샷다'라는 구절은 당시 맹사성의 <강호사시가>와 송순의 <면앙정가> 등에도 나타나 있는 표현이다.
이 노래의 지은이에 대해서 정도전이나 하 륜 또는 상 진 등으로 추정하는데, 노래 속에서 지은이의 삶을 추정해 볼 수 있는 말이 있다면 '일간명월(一竿明月)'이다. '일간명월'이라는 말이 시사하듯이 한가닥 낚싯대를 드리우고 밝은 달을 감상하는, 태평세월을 보내는 지은이는 세속의 이권 다툼에 휩쓸리지 않고 자연 속에서 여유로운 삶을 보냈으리라는 짐작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