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수능특강 국어]이현보 '어부단가' 문제
[43~45]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이 듕에 시름업스니 어부(漁父)의 생애(生涯)로다
일엽편주(一葉扁舟)를 만경파(萬頃波)애 워두고
인세(人世)를 다 니젯거니 날 가 주를 알랴
<제1수>
구버 천심녹수(千尋綠水) 도라보니 ㉠만첩청산(萬疊靑山)
십장홍진(十丈紅塵)이 언매나 롓고
강호(江湖)애 월백(月白)거든 더옥 무심(無心)얘라 <제2수>
청하(靑荷)*애 바 고 녹류(綠柳)에 고기 여
노적화총(蘆荻花叢)*에 야두고
일반청의미(一般淸意味)*를 어 부니 아실가
<제3수>
산두(山頭)에 한운(閑雲)이 기(起)고 수중(水中)에 백구(白鷗)ㅣ비(飛)이라
무심(無心)코 다정(多情)니 이 두 거시로다
일생(一生)애 시르믈 닛고 너를 조차 노로리라
<제4수>
장안(長安)을 도라보니 북궐(北闕)이 천리(千里)로다
어주(漁舟)*에 누어신 니즌 스치 이시랴
두어라 내 시 아니라 제세현(濟世賢)*이 업스랴
<제5수>
- 이현보, 「어부 단가」 -
*청하:푸른 연잎.
*노적화총:갈대와 물억새의 덤불.
*일반청의미:자연으로 인해 순수해진 내면.
*어주:낚시질할 때 쓰는 조그만 배.
*제세현:나라를 구제할 현명한 선비.
-----------------------------
43.윗글의 표현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대구의 방식을 통해 운율감을 조성하고 있다.
②영탄의 어조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③색채 이미지를 활용하여 공간의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④설의적 표현을 사용하여 화자의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⑤청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화자의 처지를 부각하고 있다.
44.<보기>를 참고하여 윗글을 감상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보 기 >
이현보는 만년에 혼탁한 정계(政界)에 싫증을 느껴 병을 핑계로 사직하고 고향에 돌아와 여생을 보냈다. 그는 자연을 즐기며 시작(詩作)에 힘썼으며, 고려 때부터 전해지던 「어부가」를 「어부 단가」로 개작하기도 하였다. 이현보는 이 작품을 통하여 유유자적하는 삶과 우국의 심정을 형상화하였다.
①‘어부의 생애’는 귀향 후의 유유자적하는 삶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②‘십장홍진’은 혼탁한 정계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③‘한운’과 ‘백구’는 작가가 즐기는 자연으로 볼 수 있겠군.
④‘니즌 스치 이시랴’는 사직한 후에도 우국의 심정을 지녔음을 밝힌 것으로 볼 수 있겠군.
⑤‘내 시’은 시작(詩作)에 따르는 괴로움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군.
45.윗글의 ㉠과 <보기>의 ㉮의 기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보 기 >
믉의 외로온 솔 혼자 어이 싁싁고
여라 여라
㉮머흔 구름 (恨)티 마라 셰상(世上)을 리온다
지국총(至匊悤) 지국총(至匊悤) 어와(於思臥)
파랑셩(波浪聲)*을 염(厭)티 마라 딘훤(塵喧)*을 막또다
- 윤선도, 「어부사시사」 -
*파랑셩:물결 소리.
*딘훤:속세의 시끄러움.
①㉠과 ㉮는 모두 역동적인 느낌을 강화하고 있다.
②㉠과 ㉮는 모두 화자가 도달해야 할 도덕적 가치를 상징하고 있다.
③㉠과 ㉮는 모두 화자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공간을 차단하고 있다.
④㉠은 감흥을 자아내고 있고, ㉮는 향수를 유발하고 있다.
⑤㉠은 공간적 배경을, ㉮는 계절적 배경을 알려주고 있다.
[해설]
(고전시가) 이현보, 「어부 단가」
이현보가 노년에 정계에서 물러나 고향에서 유유자적하며 지냈는데 이때의 삶을 형상화한 연시조이다. 이 작품의 화자는 자연을 완상하는 가운데 내면을 닦기도 하지만 우국의 심정으로 괴로워하기도 한다.
43. [출제의도] 표현상 특징을 파악한다.
이 작품에서는 청각적 이미지를 드러내는 표현은 쓰이지 않았다.
44. [출제의도] 표현의 특징과 효과를 이해한다.
제4수에서 ‘내 시름’은 ‘장안’의 ‘북궐’에서 비롯된 근심을 말한다. ‘장안’의 ‘북궐’은 임금을 상징하며 여기에서 비롯된 시름은 나라에 대한 근심이다.
45. [출제의도] 시어의 기능을 비교를 통해 파악한다.
이 작품의 ‘만첩청산’은 ‘천심녹수’와 함께 ‘십장홍진’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보기>의 ‘머흔 구름’과 ‘파랑셩’도 세속적 공간인 ‘세상’과 ‘딘훤’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정답] 5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