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부 국어 자료/EBS 변형

[EBS 수능특강 변형문제] 귤동리 일박-곽재구

여기가로두스 2024. 10. 1. 22:07

곽재구의 「귤동리 일박」은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여 양심적 지식인이 겪는 고난을 주제로 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역사적 인물인 다산 정약용의 삶을 되돌아보게 합니다. 각 문제를 통해 시의 주요 내용을 점검하고, 시적 화자의 정서와 상황을 심도 있게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변형문제 파일은 맨 하단에 있습니다. 

 

아흐레 강진장 지나
장검 같은 도암만 걸어갈 때
겨울 바람은 차고
옷깃을 세운 마음은 더욱 춥다
황건 두른 의적 천만이 진을 친 듯
바다갈대의 두런거림은 끝이 없고
후두둑 바다오리들이 날아가는 하늘에서
그날의 창검 부딪는 소리 들린다
적폐의 땅 풍찬노숙의 길을
그 역시 맨발로 살 찢기며 걸어왔을까
스러져 가는 국운, 해소 기침을 쿨럭이며
바라본 산천에 찍힌 소금 빛깔의
허름한 불빛 부릅뜬 눈 초근목피
어느덧 귤동 삼거리 주막에 이르면
얼굴 탄 주모는 생굴 안주에 막걸리를 내오고
그래 한잔 들게나 다산
혼자 중얼거리다 문득 바라본
벽 위에 빛 바랜 지명수배자 전단 하나
가까이 보면 낯익은 얼굴 몇 있을까
나도 모르는 사이에 하나하나 더듬어 가는데
누군가 거기 맨 나중에
덧붙여 적은 뜨거운 인적사항 하나

정다산(丁茶山) 1762년 경기 광주산
깡마른 얼굴 날카로운 눈빛을 지님
전직 암행어사 목민관
기민시 애절양 등의 애민을 빙자한
유언비어 날포로 민심을 흉흉케 한
 자생적 공산주의자 및 천주학 수괴

바람은 차고 바람 새에
톱날 같은 눈발 섞여 치는데
일박 사천 원 뜨겁게 군불이 지펴진
주막 방에 누워도 잠이 오지 않았다
사람을 사랑하고 시대를 사랑하고
스스로의 양심과 지식을 사랑하여
끝내는 쇠사슬에 묶이고 찢긴
누군가의 신음 소리가 문풍지에 부딪쳤다.
 - 곽재구, 「귤동리 일박」

 

1. <보기>를 바탕으로 (나)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선생님: 곽재구의 「귤동리 일박」에서 현재 시점의 화자가 과거의 역사적 인물인 정약용을 떠올리며 그의 삶을 상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다갈대와 바다오리의 모습을 보고 과거 의적들의 봉기 장면을 떠올리며, 이들을 현재의 상황과 자연스럽게 연결하고 있습니다.

① ⓐ: 바다갈대의 두런거림과 바다오리들의 날아가는 모습을 보며 화자가 과거 의적들의 투쟁을 연상하고 있다.
② ⓑ: 다산이 걸었던 길을 따라가며 그가 겪었던 고난을 공감하고 있다.
③ ⓒ: 화자가 다산에게 혼잣말을 건네는 장면을 통해 다산의 고통에 대한 위로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④ ⓓ: 다산의 행적을 현재 평가하고 있는 지명수배 전단을 통해 그가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것을 나타낸다.
⑤ ⓔ: 다산이 겪었던 고난의 신음 소리를 화자가 여전히 들을 수 있다고 표현하여, 현재도 유사한 고통이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2. 다음 중 ⓑ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다산이 걸었던 길을 걸으며 화자는 그가 겪었을 고난을 상상하고 있다.
② 과거의 인물을 회상하면서 현재의 화자가 느끼는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③ 과거의 정약용을 떠올리며, 현재 화자가 걷는 길이 그의 발자취와 이어져 있음을 나타낸다.
④ 현재 화자가 다산의 고난을 과장되게 표현하여 다산의 행적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⑤ 다산이 걸었던 길을 상상함으로써 화자는 그가 겪었던 고통에 대한 연민을 느끼고 있다.

3. ‘그래 한잔 들게나 다산’의 표현을 통해 나타나는 화자의 정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다산의 고난에 대한 위로
② 다산의 외로운 삶에 대한 연민
③ 다산의 업적에 대한 조롱
④ 힘든 삶을 살아온 다산에 대한 공감
⑤ 다산의 삶을 기리며 함께하고 싶은 마음

4.<보기>를 바탕으로 (나)의 분위기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보기>
선생님: 곽재구의 「귤동리 일박」은 차가운 겨울 풍경 속에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며, 다산의 고난과 고통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시 전체에 흐르는 감정은 애잔함과 비애로 가득 차 있으며, 현실의 부조리를 인식한 화자의 고뇌가 담겨 있습니다.

① 쓸쓸하고 적막한 분위기
② 고난 속에서도 희망적인 분위기
③ 밝고 생동감 넘치는 분위기
④ 권력에 대한 냉소적인 분위기
⑤ 사랑과 연민이 가득한 분위기

5. 다음 중 ⓓ 부분의 표현이 지닌 효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권력자들이 다산을 왜곡하여 반역자로 규정했음을 나타낸다.
② 당시 지배 세력의 부정적 시각을 풍자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③ 다산의 행적을 과장하여 현대의 시각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④ 과거의 부당한 평가를 통해 권력의 횡포를 비판하고 있다.
⑤ 지명수배 전단의 내용을 통해 다산이 겪었던 억압을 보여주고 있다.

6. ⓔ 부분의 의미로 적절한 것은?

① 다산의 신음 소리는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② 다산이 당시 권력을 존중했음을 표현한 것이다.
③ 다산이 자신의 양심을 지켰음을 후회하는 것을 의미한다.
④ 다산이 타협하며 살아가고자 했던 모습을 나타낸다.
⑤ 다산이 지식인으로서 편안한 삶을 살았음을 나타낸다.

7. ‘장검 같은 도암만’의 의미로 적절한 것은?

① 날카로운 도암만의 겨울 풍경이 다산의 고난을 상징한다.
② 도암만의 풍경이 다산의 성공을 나타낸다.
③ 도암만의 차가운 물결이 권력의 위엄을 상징한다.
④ 도암만의 따뜻한 분위기가 다산의 위안을 의미한다.
⑤ 도암만의 웅장한 모습이 지배층의 권력을 나타낸다.

8. 다음 중 시에서 ‘풍찬노숙’의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권력자들이 풍족한 생활을 했음을 나타낸다.
② 다산이 편안한 유배 생활을 했음을 암시한다.
③ 다산이 부당한 권력에 맞서 고난의 길을 걸었음을 나타낸다.
④ 다산이 주변 사람들과 함께한 평온한 삶을 묘사한다.
⑤ 다산이 권력을 쥐고 풍요로운 삶을 살았음을 의미한다.

9. 다음 중 ⓒ와 관련된 화자의 심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다산의 고난을 상상하며 그에게 연민을 느끼고 있다.
② 다산의 업적을 비판하며 그의 행적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③ 다산이 살아온 삶을 조롱하며 그의 실패를 즐기고 있다.
④ 다산의 삶을 냉정하게 평가하며 거리를 두고 있다.
⑤ 다산의 삶을 이해하지 못하고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10. 다음 중 (나)의 주제 의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양심적 지식인들이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 겪는 고난
② 정의를 지키려는 자들이 겪어야 하는 사회적 탄압
③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화자의 역사적 성찰
④ 부유한 권력자들이 누리는 풍요로운 삶에 대한 찬양
⑤ 부당한 현실 속에서 양심을 지키려는 사람들의 고통

 


정답 및 해설
1. 정답: ④
ⓓ 부분은 다산의 행적을 당시 권력자들이 왜곡한 표현일 뿐, 현재의 평가가 아닙니다.

2. 정답: ④
화자는 다산의 행적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지 않고, 오히려 그의 고난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3. 정답: ③
화자는 다산의 고난을 조롱하지 않고, 그를 위로하고 공감하고 있습니다.

4. 정답: ①
시의 전체 분위기는 차가운 겨울 풍경과 비애가 어우러진 쓸쓸한 분위기입니다.

5. 정답: ③
ⓓ는 현대의 시각이 아니라, 과거의 왜곡된 권력자의 평가를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6. 정답: ①
신음 소리는 다산의 고통이 현재에도 반복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7. 정답: ①
도암만의 날카로운 겨울 풍경은 다산의 고난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8. 정답: ③
‘풍찬노숙’은 다산이 겪었던 험난한 고난의 삶을 상징합니다.

9. 정답: ①
화자는 다산의 고난에 연민을 느끼고 위로하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10. 정답: ④
이 시는 권력자의 부유한 삶을 찬양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정의를 지키려는 이들이 부당한 현실 속에서 겪는 고통과 사회적 탄압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귤동리 일박-곽재구 수능특강 변형문제(객관식 10문제).hwp
0.0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