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고전 산문 작품 중 「천자를 이긴 아이」와 「종놈이 상전을 속이다」를 다룹니다. 두 작품은 각기 다른 유형의 지혜와 재치로 문제를 해결하는 인물들이 등장하는 이야기입니다. 「천자를 이긴 아이」는 조선의 한 소년이 무리한 요구를 한 중국 천자를 지혜롭게 논리로 설득하여 나라의 위기를 극복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아이의 논리적 대화법을 통해 기존의 사회 질서와 권위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면서도, 민담의 특유의 흥미와 재미를 전달합니다. 한편, 「종놈이 상전을 속이다」는 하급자에 해당하는 하인 득거리가 말솜씨와 교묘한 꾀로 상전인 김 진사를 여러 번 골탕 먹이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이 이야기에서 득거리는 교활한 행동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채우고, 주인의 어리석음과 부당함을 통쾌하게 조롱합니다.
변형문제20개
1. (가)와 (나)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두 작품 모두 주인공이 권위자에게 도전하여 승리한다.
② 두 작품 모두 권위자의 부조리한 요구를 해결한다.
③ 두 작품 모두 언어적 대결을 통해 갈등을 해결한다.
④ 두 작품 모두 상전의 권위를 존중하면서 문제를 해결한다.
⑤ 두 작품 모두 주인공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
2. (가)에서 천자가 내린 요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① 조선의 인재 유무를 확인하고자
② 자신의 부하들을 시험하고자
③ 자신의 실수를 감추기 위해
④ 조선의 임금에게 선물을 받고자
⑤ 조선과의 외교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3. (가)와 (나)의 서술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사건의 배경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② 인물의 내면 심리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③ 대화와 행동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④ 서술자의 개입을 배제한 객관적 묘사로 구성되어 있다.
⑤ 서사적 배경보다 인물의 외적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
4. (가)의 정승의 아들과 (나)의 득거리의 공통점으로 적절한 것은?
① 두 인물 모두 권력자에게 도전한다.
② 두 인물 모두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다.
③ 두 인물 모두 고난을 극복하기 위해 타인의 도움을 받는다.
④ 두 인물 모두 언어적 재치를 발휘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⑤ 두 인물 모두 도전 과정에서 실패를 경험한다.
5. (가)의 천자가 자신의 요구가 모순됨을 깨닫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정승의 아들이 정확한 숫자를 제시했기 때문이다.
② 정승의 아들이 요구의 근본적 불가능성을 논리적으로 설명했기 때문이다.
③ 정승의 아들이 두만강 물의 양을 이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④ 정승의 아들이 무리한 요구에 맞설 방법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⑤ 정승의 아들이 천자의 권위를 무시했기 때문이다.
6. (나)에서 득거리가 수저를 숯불에 묻은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주인의 식습관을 반영하기 위해
② 여점 아낙을 속여 주인의 밥상을 차지하려고
③ 김 진사에게 호의를 베풀기 위해
④ 주인에게 밥상을 물려받기 위해
⑤ 자신이 밥상을 먼저 먹기 위해
7. (나)의 득거리가 자신의 잘못을 모면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전개했다.
② 다른 사람에게 책임을 전가했다.
③ 주인의 명령을 따랐다고 주장했다.
④ 다른 사람의 잘못을 이용했다.
⑤ 주인의 권위를 직접적으로 무시했다.
8. (가)와 (나)의 갈등 양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가)는 정당한 요구에 대한 논리적 해결, (나)는 부당한 요구에 대한 물리적 대결
② (가)는 개인 간의 갈등, (나)는 권력 간의 갈등
③ (가)는 언어적 논리 대결, (나)는 유머를 통한 권위 도전
④ (가)는 집단적 문제 해결, (나)는 사회적 부조리에 대한 도전
⑤ (가)는 주인공의 희생, (나)는 주인공의 정당한 반격
9. (가)의 정승의 아들이 보여주는 지혜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상대방의 감정을 자극한다.
② 물리적 강함을 강조한다.
③ 논리적 모순을 이용한다.
④ 상대방의 약점을 공격한다.
⑤ 상대방의 권위를 존중한다.
10. (가)와 (나)의 교훈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가)는 문제 해결을 위해 논리적 접근이 중요함을 보여 준다.
② (가)는 어른들의 부당한 요구에 대항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③ (나)는 권력자도 교묘한 속임수에 쉽게 당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④ (나)는 주어진 상황에서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 준다.
⑤ (가)와 (나)는 모두 자신보다 우위에 있는 권위자에게 도전하는 것을 경계해야 함을 강조한다.
11. (가)에서 천자가 조선에 요구한 두 가지 물품은 무엇인가?
12. (가)에서 정승의 아들이 천자에게 제시한 두 가지 도구는 무엇인가?
13. (가)에서 정승의 아들이 천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한 대화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14. (나)에서 득거리가 김 진사에게 밥상을 빼앗기 위해 사용한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15. (나)에서 득거리가 수저를 불에 달군 이유는 무엇이라고 여점 아낙에게 말했는가?
16. (나)에서 김 진사가 득거리에게 술을 사 오라고 시킨 이유는 무엇인가?
17. (가)의 천자가 정승의 아들에게 벼슬을 준 이유는 무엇인가?
18. (나)에서 득거리가 술을 사 오다가 주인을 속이기 위해 행한 행동은 무엇인가?
19. (가)의 정승의 아들이 천자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듯하면서 자신의 조건을 제시한 행동의 효과는 무엇인가?
20. (나)의 득거리가 주인을 속일 때 사용한 주요 수단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