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국어 학습지] 1-1 (1)뒤집어 읽기를 통한 깨달음
✱ 핵심 정리
갈래 | 비평문 |
성격 | 주관적, ( ), 비판적 |
제재 | ‘슬견설’ |
주제 | ‘슬견설’의 의미 재구성(편견을 버리고 사고의 폭을 넓히자.) |
특징 | • 일반적으로 알려진 ‘슬견설’의 의미에 대해 반론을 제기해 독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함. • ‘이’와 ‘개’에 관련된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떠올리며 ‘슬견설’의 의미를 재구성함. |
✱ 내용 구조도
❍ ‘이’와 ‘개’에 대한 시각
( ) |
| ( ) |
‘이’는 미물이고, ‘개’는 그럴듯하게 큰 것이다. 그러므로 ‘이’의 죽음과 ‘개’의 죽음은 동일하지 않다. | → | 큰 것이든 작은 것이든 혈기가 있는 것은 모두 죽기를 싫어한다. 따라서 ‘이’나 ‘개’의 죽음은 한가지이다. |
❍ ‘슬견설’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미와 글쓴이가 파악한 의미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미 |
| 글쓴이가 파악한 의미 |
• 모든 생명체의 생명은 소중하다는 ‘( )사상’을 가져야 한다. • 목숨은 지배층이나 일반 백성이 모두 한가지라는 ‘( )사상’을 가져야 한다. | → | 다른 여러 가지 기준을 무시하고 한 가지 기준으로 획일화해서 생기는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 )을 버리고 ( )을 넓혀야 한다. |
❍ ‘슬견설’에 대한 글쓴이의 의미 구성 과정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미에 대해 의문을 제기함. |
| 자신의 ( )과 ( )을 떠올림. |
| ‘이규보’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재구성함. |
일반적으로 이규보보다는 손님을 더 정상적인 인간으로 볼 수 있을 만큼 이규보의 말은 납득하기 어려우므로 작품의 의미를 새롭게 보아야 함. | → | • 한겨울에 ‘이’를 잡으며 통쾌함을 느꼈던 자신의 경험을 떠올림. • 인간과 정서의 교감을 느끼며 인간에게 충직한 동물이자 친근한 친구라는 개의 특성을 떠올림. | → | 서로 다른 것을 무조건 같게 보라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크기에만 집착하는 손님에게 다른 기준을 통해서도 바라볼 수 있도록 사고의 폭을 넓혀 주려는 의도로 파악함. |
✱ 핵심 정리
갈래 | 비평문 |
성격 | 주관적, (예시적), 비판적 |
제재 | ‘슬견설’ |
주제 | ‘슬견설’의 의미 재구성(편견을 버리고 사고의 폭을 넓히자.) |
특징 | • 일반적으로 알려진 ‘슬견설’의 의미에 대해 반론을 제기해 독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함. • ‘이’와 ‘개’에 관련된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떠올리며 ‘슬견설’의 의미를 재구성함. |
✱ 내용 구조도
❍ ‘이’와 ‘개’에 대한 시각
(손님) |
| (이규보) |
‘이’는 미물이고, ‘개’는 그럴듯하게 큰 것이다. 그러므로 ‘이’의 죽음과 ‘개’의 죽음은 동일하지 않다. | → | 큰 것이든 작은 것이든 혈기가 있는 것은 모두 죽기를 싫어한다. 따라서 ‘이’나 ‘개’의 죽음은 한가지이다. |
❍ ‘슬견설’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미와 글쓴이가 파악한 의미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미 |
| 글쓴이가 파악한 의미 |
• 모든 생명체의 생명은 소중하다는 ‘(생명 애호)사상’을 가져야 한다. • 목숨은 지배층이나 일반 백성이 모두 한가지라는 ‘(평등)사상’을 가져야 한다. | → | 다른 여러 가지 기준을 무시하고 한 가지 기준으로 획일화해서 생기는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편견)을 버리고 (사고의 폭)을 넓혀야 한다. |
❍ ‘슬견설’에 대한 글쓴이의 의미 구성 과정
일반적으로 알려진 의미에 대해 의문을 제기함. |
|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떠올림. |
| ‘이규보’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재구성함. |
일반적으로 이규보보다는 손님을 더 정상적인 인간으로 볼 수 있을 만큼 이규보의 말은 납득하기 어려우므로 작품의 의미를 새롭게 보아야 함. | → | • 한겨울에 ‘이’를 잡으며 통쾌함을 느꼈던 자신의 경험을 떠올림. • 인간과 정서의 교감을 느끼며 인간에게 충직한 동물이자 친근한 친구라는 개의 특성을 떠올림. | → | 서로 다른 것을 무조건 같게 보라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크기에만 집착하는 손님에게 다른 기준을 통해서도 바라볼 수 있도록 사고의 폭을 넓혀 주려는 의도로 파악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