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수능대비-고전시가 정리
고전 시가
<대표적인 문제 유형>
1. 화자의 정서 및 태도
: 표현하고자 하는 시적 대상 파악 ⇒ 작품의 분위기, 시적 상황, 태도나 정서가 드러나는 시어 확인 ⇒ 시적 상황에 대한 반응
2. 시어나 시구의 의미 추리
: 사전적 의미를 염두에 두고 시의 전체적인 내용 파악 ⇒ 시어가 가리키는 대상, 시어를 수식하는 말, 다른 시어와의 관련성 고려 ⇒ 함축적 의미가 유사한 시어와 상반된 시어 파악
3. 공통적 특징 파악
: 화자의 태도와 정서, 분위기, 어조, 표현상 특징, 시상 전개 방식, 제재와 주제 등
4. 표현상의 특징
: 비유나 상징, 반어와 역설, 감정이입, 언어유희 등
5. 시상 전개 방식
: 기승전결, 시간적 전개, 선경 후정, 대립적 전개 등
6. 종합적 감상
: 유사성이 있는 작품, 다른 갈래로 바꾸기, 내재적 접근과 외재적 접근
월명사, <제망매가>
- 누이의 죽음 애도와 인생 무상, 슬픔을 초극하려는 내면적 의지
- 죽음의 문제를 종교적 차원에서 극복 시도
- 감탄 어법으로 삶의 덧없음과 죽음의 고뇌 표현
- ‘바람’ : 삶과 죽음을 가르는 자연의 섭리
- ‘잎’ : 형제, 자매
- ‘한 가지’ : 부모
충담사, <찬기파랑가>
- 기파랑의 인물됨을 자연물에 비유해 예찬
-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과 높은 이상 강조
- ‘달’ : 높이 우러러보는 광명의 존재
- ‘냇물’ : 맑고 깨끗한 모습
- ‘조약돌’ : 원만하고 강직한 성품
- ‘잣나무’ : 고결한 절개
작자미상, <정읍사>
현전하는 백제의 유일한 가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속악의 하나로 불리어짐
「악학궤범」에 가사가 전하고 「고려사악지」에 배경설화가 전함
행상인의 아내가 밤이 늦어도 돌아오지 않는 남편의 무사귀환을 기원하는 노래
서민들의 삶의 정서가 일정한 리듬과 함께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