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는 황지우 시인이 1985년 출간한 동명의 시집에 수록된 시입니다. 겨울을 이겨내고 봄에 당당히 꽃을 피우는 나무의 생명력을 그려내는 시입니다. 이러한 나무의 모습을 통해 고통스러운 현실을 이겨낸다면, 결국 새로운 날을 맞이할 수 있다는 희망을 말하고 있다는 시입니다. 여러분도 지금 당장은 힘들 수 있지만, 묵묵히 이겨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다보면 결국 그 시련을 이겨낼 수 있을 것입니다. 자, 그럼 시를 본격적으로 살펴 보겠습니다.
현대시 본문 분석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황지우
나무는 자기 몸으로
⤷시적 대상
나무이다
자기 온몸으로 나무는 나무가 된다 (나무의 주체성)
자기 온몸으로 헐벗고 영하 십삼도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추위
영하 이십도 지상에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추위
온몸을 뿌리박고 대가리 쳐들고
⤷시련에 굴하지 않는 꿋꿋한 모습
무방비의 나목으로 서서
⤷겨울나무, 잎이 지고 가지만 남은 앙상한 나무
두 손 올리고 벌 받는 자세로 서서
⤷시련과 고난을 당하는 굴욕적 자세
아 벌 받은 몸으로, 벌 받는 목숨으로 기립하여, 그러나
⤷시상의 전환
이게 아닌데 이게 아닌데
⤷굴종적인 태도에 대한 문제의식
온 혼으로 애타면서 속으로 몸속으로 불타면서
⤷굴종적인 태도에 대한 거부
버티면서 거부하면서 영하에서
영상으로 영상 오도 영상 십삼도 지상으로
⤷봄으로의 계절 전환
밀고 간다, 막 밀고 올라간다
↳상승이미지-희망적, 역동적
온몸이 으스러지도록
으스러지도록 부르터지면서
↳ 고통스러운 현실 극복 과정
터지면서 자기의 뜨거운 혀로 싹을 내밀고
↳강렬한 생명력
천천히, 서서히, 문득, 푸른 잎이 되고
↳내면의 힘으로 조금씩 변화함
푸르른 사월 하늘 들이받으면서
↳봄, 생명력이 충만한 시기
나무는 자기의 온몸으로 나무가 된다
↳극복의 과정, 자기의 완성
아아, 마침내, 끝끝내
↳화자의 감동, 의지, 믿음
꽃피는 나무는 자기 몸으로
↳나무의 주체성
꽃피는 나무이다
↳봄 나무, 시련을 극복하고 생명력이 충만한 상태
정리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의지적, 역동적, 상징적, 예찬적
주제: 겨울을 이기고 꽃을 피우는 나무의 상상력, 시련과 고통을 극복해 가는 나무의 생명력
특징: 1) 상징적, 대립적 시어로 시대 현실을 대변함
2)상승적, 역동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굳센 의지를 형상화함
3)나무를 의인화하여, 나무로부터 바람직한 삶의 태도를 유추함
4)계절의 순환이라는 자연 현상을 통해 주제를 형상화함.
5)겨울-나무, 봄-나무 시어에서 줄표의 효과: 겨울-나무에서 줄표는 겨울과 나무를 단절시키지 않고, 연결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나무가 겨울로부터 고통받는다는 의미와 동시에 겨울로 인해 봄 나무가 성장할 수 있게 된다는 역설적 연결 관계를, 봄-나무에서 줄표는 봄과 나무를 연결시켜, 단순히 봄이 되어 나무가 꽃을 피우는 것이 아니라, 겨울을 이겨내고 봄을 맞아 꽃을 피우는 나무라는 나무의 생명력을 강조하는 효과를 주게 된다.
6) 연 구분을 하지 않는 효과: 겨울과 봄의 시기적 구분을 의도적으로 하지 않는 효과, 이를 통해 겨울이 조금씩 변해서 어느새 봄이 되듯, 힘든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다보면 어느 순간 변화된 현실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말한다. 저항과 극복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효과도 갖는다.
7) 잦은 쉼표의 사용: 쉼표에 의해 긴 문장의 중간중간에 호흡을 끊어 급박한 느낌을 준다.
8)의도적인 만연체 사용: 운율을 형성하면서 시적 의미를 강화한다.
추가 해석
이 시의 배경은 1980년대입니다. 당시는 전두환 군부독재 시대로, 이 시의 겨울은 그러한 부정적 현실을 상징하며, 봄은 그러한 부정적 현실이 극복된 상황을 상징합니다.
1-3행: 나무의 자립성, 강인한 생명력
4~9행: 나무가 겪는 고난과 시련의 현실 상황
10~20행: 생명력을 실현하기 위한 나무의 의지
21~23행: 시련을 이기고 꽃을 피우는 나무
(학습용으로 자료를 게시하는 바, 저작권 등 해당 문제에 관련한 문제 발생시 댓글 달아주시면 언제든 삭제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