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1학년 한국사 학습지-1단원 우리 역사의 형성과 고대 국가
한국사 수업지도안 - 1단원 우리역사 형성과 고대국가(학생용).hwp
Ⅰ-1 | 동트는 우리 역사 | pp. 12~15 |
1-1 도구를 발명하고 생산을 시작하다 |
1. 구석기 시대
(1) 구석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① 시작: 약 70만 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 석기를 다듬는 수법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
② 유적: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경기도 연천 전곡리, 충남 공주 석장리 등
③ 유물: 석기, 사람과 동물의 뼈 화석, 동물 뼈로 만든 도구 등
(2) 구석기 시대의 생활
① 도구: 뼈 도구와 ( )석기 -사냥 도구(주먹도끼, 찍개, 팔매돌 등), 조리 도구(긁개, 밀개)
② 생활: 사냥과 채집, 동굴이나 바위 그늘, 강가의 막집에서 거주, ( )·( )생활, ( )관계
③ 예술: 석회암,뼈,뿔 이용, 고래와 물고기 등 조각 → 사냥감의 번성을 비는 ( ) 의미
2. 신석기 시대
(1) 신석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① 시작: 기원전 8000년경부터
② 도구: ( )석기와 토기( 토기, 토기→ 토기)
(2) 신석기 시대의 생활
① 경제: ( ) 시작(탄화된 좁쌀 , , , , ), 사냥과 고기잡이 중요,
원시적 수공업( , 로 옷이나 그물 제작)
② 주거: 대부분 바닷가나 강가, 움집(바닥은 이나 모서리가 사각형), 중앙에 화덕
③ 사회: 부족 사회(혈연에 바탕한 씨족 토대),( ), 평등 사회
④ 원시신앙: ( ), ( ),( ), ( ), ( )
⑤ 예술품: 흙을 빚어 구운 얼굴, ( ), 치레걸이 등
1-2 계급이 발생하고 국가가 출현하다 |
| 청동기 시대 | 초기 철기 시대 |
시기 | B.C.20세기 경 | B.C.5세기 경 |
유물 | ( ), 돌무지 무덤 ( ), ( ), 거친무늬 거울, 미송리식토기·( ) | 널무덤, 독무덤, ( ) 농기구, ( ), 잔무늬거울,( ), 간토기, 덧띠토기, ( ), ( )(중국과 교역), 청동기의 의기화 |
경제 | 농기구 다양화, ( )시작, 농업 생산력 향상 | |
주거 | 지상으로 올라온 장방형( ) 움집, 배산 임수의 취락 형성 | |
사회 | ( )과 ( )의 발생 (잉여 생산물과 정복사업), 선민 사상 대두, ( )의 출현 | |
종교 | 청동제 의기, 바위그림(풍요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 |
Ⅰ-2 |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 | pp. 16~21 |
2-1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 고조선 |
(1) 단군과 고조선
① 배경: 청동기 문화의 발전, 족장 사회 출현-주변의 여러 족장 사회 통합, 권력 강화
② 건국: 기원전 2333년 ( )( , 동국통감 기록)
③ 세력범위: (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 인접한 족장 사회 통합→한반도까지 발전
( , , , 출토 지역)
④ 단군 이야기: 선민사상, 농경생활, 환웅부족과 곰을 숭배하는 부족의 연합( )
⑤ 발전: 기원전 3세기경 왕위 세습, 요서를 경계로 중국 연과 대립
(2) 위만의 집권
① 배경: 진·한 교체기에 중국 유이민 집단의 이주→ 이주민 세력 통솔, 세력확대→ 왕위 찬탈
② 발전: 철기 문화의 ( )수용, 농업 발달, 활발한 정복사업, 중계무역 이득 독점(한과 대립)
③ 멸망: 한 무제의 침입으로 멸망→ 한은 고조선 일부 지역에 ( )설치→( )공격으로 소멸
(3) 고조선의 사회
① ( ): 3개의 조목 전래, 권력과 경제력의 차이 발생, 사유 재산, 형벌과 노비 발생, 노 동력과 사유 재산 중시 등을 알 수 있음
② 한의 군현 설치 이후: 60여 조로 법 조항 증가, 풍속 각박
2-2 철기 문화를 기반으로 등장한 여러 나라 |
| 부여 | 고구려 (부여계) | 옥저 (부여계) | 동예 (부여계) | 진국‧삼한 (한족) | |
위치 | 송화강 평야 | 졸본 → 통구 (A.D 3년) | 함흥 평야 | 강원 북단. 영흥 | 한강 이남 | |
건국 | B.C 4c(사마천 사기) | B.C 2c | 고조선에 예속 | ( ) | 진국→목지국‧백제국→ 백제 | |
( ) | 토착→경상남해안→ 가야 | |||||
→고구려에 투항(494) | → 고구려(태조왕)에 복속 | |||||
( ) | 경상북도→ 신라 | |||||
정치 | ‧ 5부족 연맹체:( )+중앙;왕(세습) ‧ 군장: ( , , , ) →대사자, 사자 | ‧ 5부족 연맹체 ‧ 왕, 상가‧고추가 →대로‧패자 →사자‧조의‧선인 ‧ ( ) -범죄자 처벌 | 군장사회:( ‧ ) | ‧유이민과 토착세력이 융합하여 연맹체 형성( , , 등 군장이 소국 지배) ‧( )이 다스리는 (소도)존재- 제정분리 | ||
경제 | -농경‧ ( ) -말‧주옥‧모피 | - 농경 - 정복사업 | -5곡‧해산물→ 고구려에 수탈 | -누에: 명주 -단궁‧반어피‧과하마 | -변한:( )생산 → 낙랑‧왜로 수출 -농업: 밭갈이‧철제농기구‧저수지 -목축: 소‧말‧돼지‧닭 | |
사회 | <4조목>-고조선과 비슷 | - 1책 12법 |
|
|
| |
풍속 | -(12월): 국중대회 -순장, 형사취수, 점복 | -동맹(10월) -서옥제( ) -형사취수,국동대혈제사 | -( ) -세골장(가매장→공동무덤) | -무천(10월) -족외혼‧( ) | -반움집·귀틀집에 거주 -두레조직,제천행사(5·10월제) |
Ⅰ-3 | 삼국, 교류와 경쟁 속에서 발전하다 | pp. 22~31 |
3-1 삼국, 중앙 집권적 고대 국가로 성장하다 |
1. 연맹 왕국에서 중앙 집권 국가로
(1) 영토 확장 :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주변 소국 통합
(2) 왕권 강화 : (왕위 세습제) 확립, 족장 세력을 중앙 귀족으로 편입
(3) 체제 정비 : 중앙 관제(관등제, 관복제 등)와 지방 조직 정비
(4) 귀족 회의 : 국가 중대사 결정, 왕권 견제 ex) 고구려 (제가회의), 백제 (정사암회의), 신라 (화백회의)
2. 고구려의 성장
(1) 성립 : 부여계 유이민과 압록강 유역 토착민의 결합 (주몽 건국)
(2) 태조왕(1세기) : 한군현 공략, 요동 진출, (옥저) 복속, (계루부 고씨)의 왕위 독점 세습
(3) 고국천왕(2세기) : 부족적 5부를 (행정적) 5부로 개편, 왕위의 (부자상속) 확립
(4) 미천왕(4세기) : (낙랑) 정복(중국 세력 완전 축출), 대동강 유역 확보
3. 백제의 성장
(1) 성립 : 고구려계 유이민과 한강 유역 토착민의 결합 (온조 건국)
* 백제의 건국 세력이 고구려계임을 보여주는 증거 : (돌무지무덤) 양식
(2) 성장 : 마한의 소국인 백제국에서 출발해 마한을 대신하는 정치 세력으로 성장
(3) 고이왕(3세기) : 한강 유역 장악, (6좌평제) 마련, 관등제 도입, 관리의 복색 제정
4. 신라의 성장
(1) 성립 : 경주 지역의 토착민과 유이민 집단의 결합 (박혁거세 건국)
(2) 성장 : 진한의 (사로국)에서 출발해 주변 세력을 통합하고 6부족 연맹체로 성장
* 연맹 왕국 신라의 특징 : 박․석․김씨가 교대로 (이사금)(≒왕)에 선출
(3) 내물왕(4세기) : 진한 지역 장악, (마립간)(대군장) 칭호 사용, (김씨)의 왕위 세습권 확립
* 고구려의 도움으로 왜군 격퇴 → 고구려군 주둔 → 고구려의 간섭(호우명 그릇, 광개토왕 비문)
5. 가야 연맹
(1) 전기 가야 연맹
① 성립 : 변한의 소국들이 김해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연맹 형성(3세기)
② 발전 : 풍부한 (철)과 해상 교통의 이점을 이용해 낙랑-왜를 연결하는 (중계 무역) 전개
(2) 후기 가야 연맹
① 성립 : (고구려) 공격으로 금관가야 중심 연맹 해체 → 고령 (대가야) 중심의 연맹 형성(5세기 후반)
② 멸망 : 백제와 신라의 압박 → 중앙집권적 고대국가로 성장하지 못한 채 (신라)에 병합
3-2 삼국 간의 상호 항쟁이 본격화되다 |
1. 고대 국가 체제의 완비
(1) 국가 체제 완성 : 왕권 강화, 영토 확장, 율령 반포, 불교 수용
① (율령) 반포 - 국가 운영의 체계적 규범 마련하고 성문화
② (불교) 수용 - 국민의 사상적 통합, 국왕 중심의 지배 이념 확립
(2) 삼국 간의 항쟁 : 영토 확장 사업 → 주로 (한강 유역)을 둘러싼 주도권 다툼 양상
(3) 각국 전성기 특징 : ‘대왕’ 칭호, 독자적 연호 사용, 역사서 편찬
2. 백제의 번영과 위기
(1) 근초고왕(4세기) : 삼국 항쟁의 주도권 장악
① 왕위의 부자상속제 확립 → 왕권 강화
② (마한) 통합, 고구려 평양성 공격(고국원왕 전사), 해외 진출(중국 요서․산둥, 일본 규슈)
(2) 위기 : 5세기 고구려의 공격으로 한강 유역 상실, (웅진)(=공주) 천도(475)
3. 고구려의 팽창
(1) 위기 : 4세기 후반 전연과 백제의 침입 - 고국원왕 전사
(2) 소수림왕(4세기) : 전진과 수교, (태학) 설립, (불교) 수용, (율령) 반포
(3) 광개토왕(4세기말~5세기초) : 요동과 만주 대부분 장악, 백제 공격, 신라 침입한 (왜) 격퇴
* 광개토대왕비 : 독자적 연호(영락) 사용, 백제와 신라를 속민으로 파악, 독자적 천하관 엿보임
* 임나일본부설 :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정벌해 4~6세기에 백제․가야․신라를 지배했다는 역사 왜곡
(4) 장수왕(5세기) : (평양) 천도(427), 한강 유역 장악(중원고구려비), 중국 남북조와 교류
* 중원고구려비 : 충북 충주시 소재, 신라 영토 내에 고구려군 주둔, 신라를 동이(東夷)라 칭함
4. 백제의 중흥
(1) 나제 동맹 체결(433) : 고구려의 (남진 정책)에 공동으로 대항
(2) 웅진 천도(475) :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한성 함락, 한강 유역 상실
(3) 무령왕(6세기) : 남중국(=남조)과 교류(무령왕릉-벽돌무덤), 지방 조직 정비(22담로 설치)
(4) 성왕(6세기) : (사비)(=부여) 천도, 국호 (남부여)로 개칭, 중앙 관서 22부로 정비, 불교 장려
* 한강 유역 일시 회복 → 신라의 배신으로 상실(관산성 전투-성왕 전사), (나제 동맹) 결렬
5. 신라의 발전과 한강 유역 차지
(1) 지증왕(6세기) : 우경 보급, 지방 제도 정비, (우산국) 정복, 국호 ‘(신라)’, 왕호 ‘(왕)’ 사용
(2) 법흥왕(6세기) : (율령) 반포, 상대등과 병부 설치, (불교) 공인, 금관가야 병합
(3) 진흥왕(6세기) : 한강 유역 장악(단양 적성비, 북한산비), (대가야) 정복, 함경도 진출, 화랑도 정비
* 신라의 한강 유역 장악 의미 : 경제 기반 확대, (중국)과 직접 교류 → 삼국 통일의 토대 마련
※ 신라의 왕호 변천
거서간(귀인,군장)→차차웅(무당,제사장)→이사금(연장자,연맹장)→마립간(대군장)→왕(중국식시호)
1대 혁거세왕 2대 남해왕 3대 유리왕 17대 내물왕 22대 지증왕
3-3 삼국 간의 항쟁, 최후의 승자는 신라 |
1.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1) 배경 : 수의 통일과 당의 등장, 고구려와 패권 다툼
(2) 수와의 전쟁 : 고구려의 요서 지방 선제 공격, 수의 침략 격퇴(살수대첩)
(3) 당과의 전쟁 : 고구려의 (천리장성) 축조, 대당 강경책, 당의 침략 격퇴(안시성 전투)
(4) 고구려의 수․당 격퇴 의미 : 민족의 방파제 역할, 고구려의 국력 쇠퇴 초래
2.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1) (나․당 연합) 결성 : 신라와 당이 각각 백제와 고구려 제압 위해 연합
(2) 백제 멸망 : 의자왕의 실정과 계백의 황산벌 전투 패배 → 사비성 함락으로 멸망(660)
(3) 고구려 멸망 : 연개소문 사후 지배층 내분 → 평양성 함락으로 멸망(668)
3. 나․당 전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1) 백제 부흥 운동 : (주류성)과 (임존성)을 근거로 흑치상지와 복신 등이 전개
(2) 고구려 부흥 운동 : 오골성과 한성(황해도 재령)을 근거로 고연무와 검모잠 등이 전개
(3) 나․당 전쟁 :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 → (매소성)과 (기벌포)에서 당군 격파, 삼국 통일 완성(676)
* 당의 지배 의도 : 고구려에 안동도호부, 백제에 웅진도독부, 신라에 계림도독부 설치
(4) 삼국 통일의 의미 : 자주적 성격(당군 무력 축출), 민족 문화 발달의 기틀 마련
* 한계 : 외세(당) 개입, (대동강) 이남 지역의 영토만 확보한 불완전한 통일
3-4 활발한 문화 교류를 통해 발전한 삼국 |
1. 삼국의 국제 교류
(1) 중국 및 서역과의 교류 : (한자)․(유교)․(불교)․도교 등 수용 → 학문과 종교 발전
(2) 고구려 : 북중국 및 북방 민족, 서역과 주로 교류
(3) 백제 : (남중국)과 문물 교류, 중국-가야-왜를 연결하여 해상 무역의 주도권 차지
(4) 신라 : 고구려를 통해 북중국과 교류 → (한강 유역) 장악(진흥왕) 후 중국과 직접 교류
(5) 가야 : 바닷길을 통해 중국․왜와 교류하며 철기 문화 발전
(6) 삼국의 상호 교류 : 언어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활발한 문화 교류
2.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1) (백제) : 삼국 중 가장 영향력 큼, 유교․의학․천문․역법․불교․조각․건축 전파
(2) 고구려 : 불교․회화․종이․먹 등 전파
(3) 신라 : 조선술, 축제술 전파
(4) (가야) : 스에키 토기에 영향, 일본에 철 수출
(5)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의의 : 일본의 고대 국가 성립 및 (아스카 문화) 발달에 기여
Ⅰ-4 | 남북국으로 나뉘어 발전하다 | pp. 32~37 |
4-1 통일 신라의 발전 |
1. 신라의 민족 융합 정책
(1) 배경 : 국가적 단결 공고화 필요, 나․당 전쟁을 거치며 민족 의식 형성
(2) 내용 : ① 고구려와 백제의 옛 지배층에게 관직 수여
② (9주) 정비 : 고구려, 백제, 신라의 옛 땅에 3주씩 설치
③ (9서당) 편성 : 고구려, 백제, 신라, 말갈계까지 포함하여 중앙군 편성
2. 전제 왕권의 확립
(1) (진골)의 왕위 계승 : 무열왕계 직계 후손들이 왕위 계승
(2) 중앙 정치 기구의 변화 : ( )중심, 시중의 기능 강화, ( )설치
(3) (신문왕)의 전제 왕권 강화
① 귀족 세력 숙청 : (김흠돌 모역 사건)을 계기로 진골 귀족 대대적 숙청
② 지방 조직 정비 : (9주 5소경) 체제 정비 (5소경 - 수도의 편재성 보완, 지역 발전 도모)
③ 유교 이념 도입 : 유학 사상 강조, (국학) 설립, (6두품) 세력의 진출과 활동 활발
④ 토지 제도 개편 :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이후 성덕왕때 일반 백성에게 정전 지급
* 녹읍은 조세 수취와 노동력 징발 가능, 관료전은 조세 수취만 가능
3. 신라 말기의 사회 모순
(1) 왕위 쟁탈전 심화 : 전제 왕권 붕괴 → (왕권) 약화, (상대등) 권한 강화, 지방 통제력 약화
(2) 농민 봉기 발생 : 지배층의 가혹한 수취에 몰락한 농민 봉기, (초적)(도적) 활동
(3) (지방 호족) 성장 : 성을 쌓고 군대를 보유한 지방의 반독립적 세력으로 성장
(4) (6두품) 세력의 개혁 주장 : 유교 사상을 바탕으로 골품제의 모순 비판
(5) (선종)과 (풍수지리설) 유행 : 호족 및 6두품 유학자들과 결합하여 반(反)신라적 움직임
4. 후삼국의 성립
(1) 후백제 : (견훤), 지방의 군사력과 호족 세력을 토대로 완산주(전주)에 건국(900)
(2) 후고구려 : 궁예, (초적)의 무리를 기반으로 송악(개성)에서 건국(901) (철원 천도, 국호 태봉)
※ 신라사의 시기 구분
| 혁거세~지증왕 | 법흥왕~진덕여왕 | 무열왕~혜공왕 | 선덕왕~경순왕 | |
삼국 사기 | 구분 | 상대(上代) | 중대(中代) | 하대(下代) | |
기준 | 성골의 왕위 계승 | 진골(무열왕계) | 진골(내물왕계) | ||
삼국 유사 | 구분 | 상고(上古) | 중고(中古) | 하고(下古) | |
기준 | 고유 왕명 | 불교식 왕명 | 중국식 시호 | ||
사회적 특징 | 중앙집권국가의 성장 | 왕권의 전제화 | 귀족연합정치, 호족 성장 |
4-2 발해의 건국과 발전 |
1. 발해의 건국
(1) 배경 : 요동 지방으로 중심으로 고구려 유민과 부흥군의 저항 계속
(2) 건국 :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을 규합하여 건국(698)
(3) 발해의 고구려 계승 증거
① 대조영은 (고구려 장군) 출신,발해 지배층의 대다수가 고구려 계통
② (고구려 계승 의식) 뚜렷 - 일본 국서에 (고려) 및 (고려 국왕) 자처, 일본도 발해를 고려로 칭함
③ 문화적 유사성 - 연꽃무늬 기와, 온돌 장치, 이불병좌상(불상), 굴식돌방무덤의 모줄임 천장
2. 발해의 발전
(1) 무왕 : 영토 확장, 흑수말갈 제압, 당의 (산둥 지방) 공격(장문휴),
(2) 문왕 : (당)과 친선, 신라와 교류(신라도 개설), 3성 6부제 정비, (상경)으로 천도
(3) 선왕 : 대부분 말갈족 복속, (요동) 지역 진출, 신라와 접경, 지방 제도 정비(5경 15부 62주)
(4) 당과 대등한 지위 표시 : 독자적 연호 사용(인안․대흥․건흥), 천손 의식 표방
3. 발해의 통치 체제
(1) 기본 체제 : 3성 6부 - 당의 제도 수용했으나 발해의 독자성 유지
(2) 발해의 독자성 : (정당성) 중심 운영, 좌사정․우사정의 (이원적) 통치 체제, (유교식) 명칭의 6부
4. 발해의 멸망
(1) 멸망 : 귀족의 권력 다툼으로 쇠퇴, (거란)(요)의 침입으로 멸망(926)
(2) 부흥 운동 : 후발해, 정안국, 대발해국 등을 세우며 노력했으나 실패
(3) 전승 : 발해 멸망 후 발해 유민 일부는 (고려)에 흡수
4-3 남북국, 활발한 국제 교류를 통해 발전하다 |
1. 신라의 국제 교류
(1) 당과 교류 : (당항성) 통해 교류, (산둥 반도)에 신라방․신라촌, 신라소, 신라원, 신라관 설치
(2) 사상 교류 : 유학생과 승려가 당과 인도 왕래, 신라의 유교․불교가 일본에 영향
(3) 국제 무역항 : 울산항(이슬 람 상인 왕래), 당항성(중국 교류 거점) 등
(4) 장보고 활약 : 완도에 (청해진) 설치, 당-신라-일본을 잇는 동아시아 해상무역 장악
2. 발해의 국제 교류
(1) 일본과 교류 : 바닷길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지속적 교류(신 라 견제)
(2) 당과 교류 : (문 왕) 때 친선 관계 이후 활발히 교류, 산둥 반도에 (발 해 관) 설치
(3) 신라와 교류 : 상설 교통로인 (신라 도)를 통해 교역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