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부 국어 자료

[고전시가]용비어천가

여기가로두스 2015. 11. 10. 01:43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1 장]

해동(海東) 육룡(六龍)이 나시어 / 일마다 천복(天福)이시니 / 고성(古聖)이 동부(同符)하시니


우리나라에 육조가 나시어

하는 일마다 하늘의 복이시니

중국 엣 성왕들이 한 일이 우리나라 육조가 한 일과 같다 하시니


[제 2 장]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흔들리므로 꽃 좋고 열매 많나니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그치므로 냇물을 이루어 바다에 가나니


[제 3 장]

주국(周國) 대왕이 빈곡(豳谷)에 사시어 제업을 여시니

우리 시조 경흥(慶興)에 사시어 왕업을 여시니


중국에서도 선대 왕들이 기틀을 잘 마련해서 잘 되었듯이

우리나라 시조 또한 마찬가지다. 선조들이 잘 해줬기 때문이다.


[제 125 장]

천세(千歲) 전에 미리 정하신 한강 북녘에 누인개국(累仁開國) 하사 복년(卜年)이 가없으시니

성신(聖神)이 이으셔도 경천근민(敬天勤民)하셔야 더욱 굳건하시리이다

임금하 아소서 낙수(洛水)에 사냥 가서 조상만 믿겠습니까


천 년 전에 미리 정해 놓은 한양에 나라를 세워도 복이 끝이 없으니

이 뒤를 후대 왕이 이어 나가도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위해 열심히 일해야 더욱 굳건해지리라.

중국 고사를 인용하여 놀기 좋아하여 폐위당한 누구처럼 하면 안 됩니다!!


✽육룡: 세종의 조상 여섯 분. 목조, 익조, 도조, 환조, 태조와 태종.

✽천복: 하늘이 내려준 복.

✽고성: 옛 왕조에서 영웅적인 행적을 남긴 임금 또는 위인들.

✽동부: 사물이나 현상이 꼭 들어맞음.

✽천세: 여기서는 ‘오랜 옛날’을 의미함.

✽누인개국: 어진 행적을 쌓아 나라를 세움.

✽복년: 점쳐 따진 수명. 왕조의 운수.

✽성신: 성스러운 임금.

✽경천근민: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위해 애쓰는 모습.

✽낙수에 사냥 가서 조상만 믿겠습니까: 하나라 3대 임금 태강이 늘 사냥만 다니면서도 조상의 공덕만을 믿은 고사를 두

고 한 말. 반란이 일어나 태강은 결국 아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죽음.


 갈래:악장, 영웅 서사시, 송축가(頌祝歌)

 성격:송축적, 예찬적, 서사적('용비어천가'의 서사시적 성격 : '용비어천가'는 왕조 창업의 송축에 근본적인 목적과 기능이 있었다. 따라서, 제작 과정에서 민간에 전해지는 육조(六祖)의 찬양할 만한 일화들을 채집하여 주요 제재로 삼았다. 그러한 점에서 이 작품은 전승적, 서사적 성적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악장이란, 본래 궁중 연락(宴樂)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만큼 그 제작 주체들이 대상으로 삼은 것은, 내적으로는 귀족 관리 계층과 후손들이었고, 외적으로는 특히 명나라 조정이었음), 설득적, 교훈적, 훈계적


 구성:전 125장, ‘서사 - 본사 - 결사’의 3단 구성


구성

해당 장 중심 내용

서사:개국송

(開國頌)

제1장

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당위성을 강조함

제2장

조선의 무궁한 발전을 송축하고 기원함.

본사:사적찬

(事績讚)

제3장~제8장

태조의 선조인 사조(四祖)의 행적을 노래함.

제9장~제89장

익조의 사적과 태조의 인품과 영웅적 업적을 노래함.

제90장~제109장

태종의 위업 찬양

결사:계왕훈

(戒王訓)

제110장~제124장

후대 왕에 대찬 권계〔무망장(毋忘章)〕

제125장

후대 왕에 대한 권계〔대단원〕


 제재:조선 왕조의 창업


 주제: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후대 왕에 대한 권계


 창작 동기 :

① 조선이 건국된 뒤 민심을 안정시키고, 조선 건국의 정당성 도모하기 위함.

② 후대왕(後代王)에 대한 권계

③ 훈민정음의 시험과 훈민정음에 국자(國字)로서의 권위 부여하려는 의도가 담김.

 완성:세종 27년(1445)


 간행:세종 29년(1447)


 '용비어천가'의 표현상 특징

① 총 125장중 대부분이 2절 4구체로 되어 있으며, 대구법을 사용하고 있음

② 주로 전절에 중국 고사를 인용하고, 후절에서는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음.

③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주관적 해석을 덧붙이고 있다.

④ 압축적으로 표현되어 있어서 배경 지식, 즉 한역시와 주해를 통해 보완적으로 이해해야 함.


 의의:

① 한글(훈민정음)로 기록된 최초의 작품(장편 영웅 서사시)

② ‘월인천강지곡’과 함께 악장 문학의 대표작 

③ 세종 당시 국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

④ 역사 연구의 보조 자료가 됨

<EBS 조아란 선생님 그림>